더파워

2025.07.20 (일)

더파워

지난해 원전 발전량 '역대 최대'... 비중도 30% 넘겨

메뉴

산업

지난해 원전 발전량 '역대 최대'... 비중도 30% 넘겨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2-09 10:30

새울1,2호기/사진=연합뉴스
새울1,2호기/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원전 발전량이 1년 만에 또 다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발전량 중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7년 만에 30%를 넘겼다.

9일 한국전력의 12월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원전 발전량은 18만479기가와트시(GWh)로, 2022년(17만6054GWh)보다 2.51% 증가했다.

원전 발전량은 지난해 처음으로 18만GWh를 넘기며 2022년에 기록한 기존 최대치를 1년 만에 경신했다.

지난해 전체 발전량(58만8232GWh)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30.68%로, 2016년(30.66%)과 비슷한 수준을 회복했다. 2016년 이후 7년 만에 다시 원전 발전 비중이 30%를 넘긴 것이다.

원전 발전 비중은 2014∼2016년 30%대를 유지하다가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내세운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26.8%로 떨어졌다.

그러나 '탈원전 폐지'를 내세운 윤석열 정부 첫 해였던 2022년 원전 발전 비중이 29.6%로 올랐고, 집권 2년차인 지난해 30.68%까지 증가했다.

비중이 늘어난 것은 현 정부 들어 에너지 안보와 전력수급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돌려세우고 국내 원전 가동률을 높인 영향이 크다.

앞서 정부는 2030년 원전 발전량 비중을 전체의 32.4%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을 담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에너지 업계 안팎에서는 올해 상반기 발표 예정인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4∼2038년 적용)에서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담길 지 주목하고 있다.

한편, 석탄 발전은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세와 함께 발전량과 발전 비중 모두 급격히 감소했다. 지난해 석탄 발전량은 18만4929GWh, 발전 비중은 31.44%였다.

석탄 발전 비중은 2017년 43.14%까지 기록했다가, 2020년 30%대로 떨어진 이후 지난해에는 30% 선을 간신히 턱걸이했다. 지난해까지 석탄 발전량과 발전 비중은 여전히 전체 에너지원 중 1위지만 점차 뒤로 밀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년(5만3182GWh)에 비해 6.65% 증가한 5만6718GWh, 발전 비중은 9.64%를 차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21,000 ▼491,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1,000
이더리움 4,843,000 ▼33,000
이더리움클래식 31,640 ▼660
리플 4,611 ▼62
퀀텀 3,223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494,000 ▼415,000
이더리움 4,847,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31,710 ▼630
메탈 1,083 ▼8
리스크 618 ▼4
리플 4,610 ▼64
에이다 1,114 ▼16
스팀 20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70,000 ▼43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500
이더리움 4,844,000 ▼31,000
이더리움클래식 31,580 ▼800
리플 4,610 ▼69
퀀텀 3,244 ▼18
이오타 30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