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교육 확산 위해 연수 등 교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민간 참여 촉진해야
(더파워뉴스=이설아 기자) 대한민국 교사 10명 중 6명(60.1%)은 본인의 경제 지식수준을 낮게 평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신의 경제 지식수준이 ‘매우 높다’라는 응답 비중은 4.7%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한국교육정책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초·중·고 교원 1,2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가정신 및 경제교육 교원 인식 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교원들은 경제 지식수준이 낮은 원인으로 △학교 안팎 경제교육 부족(57.9%), △경제학습 중요성 인식 부족(33.1%) 등을 꼽았다.
교사 10명 중 7명(75.8%)은 학생들의 경제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판단했다. 낮다(52.0%)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어 △매우 낮음(23.8%), △높음(19.4%), △매우 높음(4.8%)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교사의 대부분(97.1%)은 학교 경제교육 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가장 적절한 교육 시작 시기는 초등학교(67.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중학교(23.8%), △고등학교(8.6%), △기타(0.6%)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원의 60.4%는 본인의 기업가정신을 낮은 수준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대별로 본인의 기업가정신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60대가 가장 높았고(52.3%), 이어 △40대(41.6%), △50대(37.2%), △30대(34.0%), △20대(22.0%) 순으로 나타났다.
갖추고 싶은 기업가정신은 창의·혁신 등 기회 포착 능력(40.6%)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도 △도전정신 등 실행력(28.4%), △리더십이나 소통능력(23.1%), △실패를 무릅쓰는 인내력(7.8%)을 꼽았다.
희망하는 교원 대상 경제연수에 대해서는 △견학 등 체험 활동(34.7%)이 가장 높았다. 이어 △기업인 등 경제인 특강(29.6%), △경제교육 교수법 연수(23.2%), △경제학 내용의 이해(12.5%)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정철 한국경제연구원장 겸 한경협 연구총괄대표는 “교사의 경제 이해도는 학교 경제교육의 수준과 깊이를 직접적으로 결정하는 요인”이라면서, “교사가 참여하고 싶은 연수의 기회 확대와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제 수업 자료의 개발이 중요하며, 민관이 힘을 모아 경제교육 확산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