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40대 이상 시니어의 기술창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지역 내 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지난 14일 ‘베이비부머의 지역 내 고부가가치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최근 늘어나고 있는 시니어 기술창업을 지역으로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를 증가시키고 지역 산업 생태계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가 지난 8년간(2016~2023년) 국내 창업활동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대는 기술창업 비중이 0.9%p 증가했고, 30대는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시니어 세대인 40대, 50대, 60세 이상은 각각 3.0%p, 3.8%p, 2.5%p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기술창업은 소위 생계형 창업으로 불리는 요식업, 도소매업 등과 달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 및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교육 서비스, 보건·사회복지 등) 창업을 의미한다.
기술기반창업의 기업당 평균 고용인원은 3.1명, 평균 매출액은 3.8억원으로 전체 창업기업 평균(고용 1.6명, 매출액 2.4억원) 대비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력이 매우 높은 편이다.
보고서는 시니어층의 기술창업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과거에 비해 학력 수준과 전문성이 높아진 2차 베이비부머 세대(’64~’74년생)가 그동안 업계에서 쌓아온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업에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1차 베이비부머(’54~’63년생) 세대인 50세 이상 60세 미만의 고등교육(대학교 이상) 이수 비율은 25.1%로 OECD 35개 회원국 중 25위에 불과했으나, 2차 베이비부머(’64~’74년생) 세대인 40세 이상 50세 미만의 고등교육 이수 비율은 45.6%로 OECD 평균(35.6%)를 크게 상회하며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2023년 기준)에 의하면 2차 베이비부머 중 관리자, 전문가, 사무종사자, 기능·기계조작직 등 전문일자리로 분류되는 직업군에 종사하는 비율은 60.6%로, 1차 베이비부머의 51.4%에 비해 높아 2차 베이비부머가 더 높은 전문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시니어층이 과거보다 고학력화․전문화되어가고 있으며 여기에 재직 중 축적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술창업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기술창업은 8년간 전국적으로 증가했으나 수도권이 비수도권 보다 더 크게 증가했다.
국내 기술창업은 2016년 190,674개에서 2023년 221,436개로 8년 간 16.1%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의 기술창업은 110,254개에서 135,042개로 22.5% 증가하며 국내 기술창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7.8%에서 61%로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의 기술창업은 같은 기간 80,420개에서 86,394개로 7.4% 증가했고 국내 기술창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2%에서 39%로 감소했다.
국내 기술창업 중 경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27.5%에서 31.6%로 4.1%p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크게 상승했고, 인천이 5.1%에서 5.8%로 0.7%p 증가해 뒤를 이었다.
충남(0.4%p), 세종(0.3%p), 강원(0.3%p), 충북(0.1%p)도 증가세였고 대전과 전남은 동일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경남은 2016년 7.0%에서 2023년 5.2%로 1.8%p 하락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하락폭이 가장 컸다.
그 밖에도 경북(-0.7%p), 부산(-0.5%p), 대구(-0.5%p), 울산(-0.4%p), 광주(-0.2%p), 전북(-0.2%p)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서울은 같은 기간 25.3%에서 23.7%로 1.6%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 경기, 인천, 충남 등 인근 지역으로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고 대한상의는 풀이했다.
김지수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 연구위원은 “더 많은 일자리와 수익을 발생시키는 고부가가치 창업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고학력·전문화된 시니어의 기술창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지역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기술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지원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