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신한투자증권] "LS일렉트릭, 북미 전력기기 시장의 다크호스…새로운 이정표"

메뉴

경제

[신한투자증권] "LS일렉트릭, 북미 전력기기 시장의 다크호스…새로운 이정표"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3-19 13:47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신한투자증권은 19일 "LS일렉트릭이 미국 빅테크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의 대형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졌다"며 "이번 계약은 기존 시장 강자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며 이루어낸 성과로, 향후 북미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와 추가 수주 가능성까지 기대되는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지난 17일, 미국 빅테크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서 1,625억원(약 1.1억달러) 규모의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2025년 10월 27일까지이며, 올해 안에 매출로 인식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 이전에도 같은 프로젝트에서 905억원(0.6억 달러) 규모의 수주를 확보한 바 있어, 총 수주 금액은 약 2,530억원(1.7억 달러)에 달한다.

이동헌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는 배전반, 차단기, 몰드변압기 등 주요 전력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LS일렉트릭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과 신뢰도를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며 "더불어 추가 수주 가능성도 열려 있어 향후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계약은 LS일렉트릭의 51년 역사에서 미국 데이터센터향 대형 프로젝트 수주로는 처음이다.

이 연구위원은 "빠른 납기와 대응력으로 글로벌 톱티어 업체와의 경쟁에서 승리했다는 점, 향후 미국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상승 및 쇼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높은 마진과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 북미 데이터센터 및 전력 인프라 시장 성장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그는 "LS일렉트릭은 이번 계약을 계기로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2024년 북미 매출 비중은 24%(전년 대비 +6%p)로 증가할 전망이며, 2025년에는 최소 2~3%p 이상의 추가 성장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블룸에너지에 따르면 2024년 25GW 수준인 미국 데이터센터 용량은 2030년 45GW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한투자증권 글로벌신재생 담당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최적의 성장 시나리오(스타게이트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2030년 80GW까지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전력 사용량 증가는 배전반, 차단기, 변압기 등 전력기기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내 데이터센터 및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맞물려, LS일렉트릭과 같은 전력기기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위원은 "이번 미국 데이터센터 수주는 LS일렉트릭이 글로벌 전력기기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하는 배전 전력기기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며 장기적인 성장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108,000 ▼97,000
비트코인캐시 700,000 ▲2,000
이더리움 4,11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5,790 ▲10
리플 4,008 ▲36
퀀텀 3,169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34,000 ▼116,000
이더리움 4,115,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790 ▲10
메탈 1,087 ▲3
리스크 605 ▼1
리플 4,005 ▲33
에이다 1,029 ▲5
스팀 2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0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700,000 ▲5,500
이더리움 4,116,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760 ▲10
리플 4,009 ▲37
퀀텀 3,112 ▼43
이오타 3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