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이 경쟁력”…기후정책 후퇴에도 대응 강화

메뉴

이슈포커스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이 경쟁력”…기후정책 후퇴에도 대응 강화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5-14 13:28

글로벌 공급망 탄소중립 요구 강화... 선진국과 탄소중립 핵심기술 격차 좁힐 기회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이 경쟁력”…기후정책 후퇴에도 대응 강화
미국 등 일부 국가의 기후정책 후퇴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주요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3일 발표한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국내 탄소배출 상위 1000개 기업 가운데 69.6%가 탄소중립 대응이 “자사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기후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된 상황에서 실시된 조사로, 2022년(34.8%), 2023년(68.8%), 2024년(60.3%)과 비교해 가장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서 탄소중립 요구가 강화되고 있으며, 지금이 오히려 탄소중립 핵심기술 분야에서 선진국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기회”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응답 기업의 91%는 공급망 내 탄소규제가 경영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43%는 이미 고객사로부터 탄소배출 산정 및 감축 요구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이 받은 요구 사항 중 ‘탄소배출량 정보 제출’이 84%로 가장 많았고, 이어 ‘탄소감축 이행’(58%), ‘재생에너지 사용’(37%)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이 경쟁력”…기후정책 후퇴에도 대응 강화
◇ 탄소중립 핵심기술 격차 해소가 미래 성장 좌우

보고서는 선진국이 기후정책에서 잠시 주춤하고 있는 현 상황을 기술격차 해소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 기술수준평가’에 따르면 국내 주요 탄소중립 핵심기술 수준은 미국 등 선진국 대비 76~86% 수준이며, 기술격차는 2.5~5년 정도로 나타났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과 풍력발전 기술은 5년, 소형모듈원자로(SMR)는 4년의 기술격차가 있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술격차가 심화되면 산업 전환 비용은 물론 녹색산업 성장과 국제 규범 주도권 확보에 제약이 생긴다”며 “이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국가 미래 성장 기반을 좌우할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실제로 트럼프 정부 시기(2017~2021년) 미국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는 등 기후정책이 후퇴했지만, 미국의 기후테크 산업은 빠르게 성장했다. PwC에 따르면 미국 내 기후테크 투자는 2016년 60억 달러에서 2020년 160억 달러로 3배 가까이 증가했고, 탄소제거 기업 수도 5배 이상 늘었다.

국내 기업 70% “탄소중립이 경쟁력”…기후정책 후퇴에도 대응 강화
◇ 85% “탄소중립 투자 리스크 높아”…정부 지원 시급

하지만 국내 기업 현실은 녹록지 않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5%가 탄소중립 투자가 ‘높은’ 혹은 ‘매우 높은’ 리스크를 수반한다고 답했다. 선도적으로 탄소중립에 투자한 일부 기업이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대한상의는 이에 따라 탄소중립 리스크 완화를 위한 5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주요 과제로는 ▲‘탄소중립 산업전환지원법’(가칭 GX추진법) 제정 ▲탈탄소 전환금융 도입 ▲저탄소 제품·서비스 시장 조성 ▲안정적인 무탄소 에너지 공급 기반 구축 ▲자발적 탄소시장(VCM) 활성화 등이 포함됐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내 기업들은 기후정책 후퇴 국면 속에서도 탄소중립을 규제 대응이 아닌 글로벌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보고 있다”며 “정부는 기술개발, 인프라, 시장 형성을 통해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20,000 ▲68,000
비트코인캐시 663,000 ▼1,500
이더리움 3,444,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10 ▲80
리플 3,042 ▲7
퀀텀 2,671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61,000 ▲147,000
이더리움 3,446,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2,370 ▲120
메탈 913 ▲4
리스크 515 ▲2
리플 3,045 ▲11
에이다 787 ▲3
스팀 17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6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663,000 ▼2,000
이더리움 3,446,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2,330 ▲100
리플 3,044 ▲8
퀀텀 2,650 0
이오타 21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