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PM 사고, 단순 속도 제한으론 부족… ‘전략적 속도제어’와 공간 맞춤형 대책 필요

메뉴

이슈포커스

PM 사고, 단순 속도 제한으론 부족… ‘전략적 속도제어’와 공간 맞춤형 대책 필요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5-30 10:0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개인형 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 사고를 줄이기 위한 해법으로 일각에서 추진 중인 ‘일괄 속도 제한’ 조치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두 건의 실증 연구는, 속도 제한이 사고를 줄이는 데 일정한 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공간의 특성과 통행량 등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한국ITS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실증적 전동킥보드 속도제어 실험: 제한속도 하향의 효과와 공간적 특성 재발견'(2024)은 서울 시내에서 실제 PM 이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한속도 하향의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위험주행 핫스팟으로 지목된 지역을 선정하고, 일부 구간에서 최고속도를 20km/h, 15km/h, 10km/h로 각각 제한한 뒤 주행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횡단보도나 대중교통 접근 지역처럼 보행자가 많은 구간에서는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속도를 줄이는 경향을 보였고, 해당 지역에서 속도제어 필요성이 최대 49.9%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민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주행 안전 의식을 갖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한편, 모든 지역에 일괄적인 속도제한을 적용하는 방식보다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속도제어’가 더 효율적임을 시사한다.

오히려 너무 낮은 속도 제한은 기기의 민감도를 높이고 주행 안정성을 떨어뜨려 사고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속도가 낮을수록 PM은 도로 환경의 영향을 더 민감하게 받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 유지가 어려워지면서 주행 자체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속도보다 더 중요한 변수는 따로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과 충북대학교가 수행한 「PM 안전관리체계 마련 연구」(2024)는 청주와 천안 지역에서 수집된 GPS 데이터와 사고 이력, 도로 환경 정보를 종합 분석해 사고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을 찾아냈다. 분석 결과, PM 사고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속도’가 아니라 ‘고유통행량’이었다.

구체적으로, 고유통행량 상위 15% 지역의 사고 발생률은 하위 지역보다 약 6배 높았고, 반대로 평균속도가 높았던 지역은 오히려 사고 발생률이 더 낮았다. 특히 ‘통행량이 많고 속도가 낮은’ 지역에서 사고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통행량이 많고 속도가 높은’ 지역보다 약 2.7배나 높은 평균 사고건수를 기록했다.

이는 단순히 PM의 속도를 낮추는 것만으로는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으며, 도로 혼잡도나 공간의 밀집도 등 구조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PM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은 이용자의 운전 습관이나 속도보다도, PM과 보행자 간의 충돌 가능성을 높이는 밀집된 공간 환경인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두 건의 연구는 PM 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책이 더 이상 일률적인 속도 제한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공간별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속도 설정과 인프라 정비, 안전 교육 등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PM이 일상 속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은 만큼, 보다 정교하고 현실적인 안전관리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660,000 ▼161,000
비트코인캐시 663,500 0
이더리움 3,4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2,280 ▲20
리플 3,040 ▲3
퀀텀 2,655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43,000 ▼74,000
이더리움 3,43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00 ▲40
메탈 912 ▲3
리스크 515 ▲2
리플 3,041 0
에이다 785 ▲1
스팀 17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9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665,000 0
이더리움 3,43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330 ▲80
리플 3,042 ▲2
퀀텀 2,650 0
이오타 21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