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트럼프發 관세 폭탄…냉장고·세탁기도 50% 철강 관세 부과

메뉴

산업

트럼프發 관세 폭탄…냉장고·세탁기도 50% 철강 관세 부과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6-13 10:52

한국산 가전제품 직격탄…23일부터 적용

KBIS2025삼성전자전시장을찾은관람객들이비스포크가전을체험하고있다.
KBIS2025삼성전자전시장을찾은관람객들이비스포크가전을체험하고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고율 관세 정책이 다시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간) 연방 관보를 통해 철강 파생제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 대상에 냉장고와 세탁기 등 주요 생활가전 품목을 대거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오는 23일부터 시행된다.

미 상무부가 새로 포함한 제품은 △냉장고 △냉동고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조리용 스토브·레인지·오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용접 철망 선반 등이다. 이번 관세는 해당 제품 전체 가격이 아닌, 사용된 철강 원자재의 가치에 대해 부과되며, 세율은 50%에 달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철강 제품에 기본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철강을 포함한 파생 제품에도 같은 방식으로 관세를 부과했다. 이후 4일부터는 이 세율을 기존의 두 배인 50%로 인상했다. 적용 대상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이다.

한국 가전업계는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와 테네시주에 세탁기 및 건조기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나, 냉장고 등 주요 품목은 여전히 한국과 멕시코, 베트남 등에서 제조돼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시장점유율 1·2위를 차지하는 냉장고 제품의 경우, 전량을 해외 공장에서 생산하는 구조다.

일각에서는 관세 인상에 따른 제품 원가 부담 상승이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제품 내 철강 부품 비중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고율 관세가 지속될 경우 한국산 가전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한국경제신문은 앞서 삼성전자가 멕시코에서 생산 중인 건조기 일부 물량을 미국 공장으로 이전하고, LG전자도 냉장고 생산 기지를 옮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99,000 ▲294,000
비트코인캐시 661,500 ▼1,500
이더리움 3,44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390 ▲60
리플 3,038 ▲6
퀀텀 2,67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90,000 ▲187,000
이더리움 3,451,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30 ▼10
메탈 917 ▲6
리스크 515 ▲2
리플 3,039 ▲4
에이다 787 ▲2
스팀 17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60,000 ▲260,000
비트코인캐시 662,500 ▼2,000
이더리움 3,44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2,410 ▲70
리플 3,040 ▲6
퀀텀 2,664 0
이오타 2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