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와 손잡고 무인기용 항공 엔진의 라인업 확대에 나선다. 해외 기술 도입이 어려운 무인기 엔진을 국내 기술로 개발해 자주국방과 방산 수출 기반을 다진다는 전략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과연이 주관하는 ‘프로펠러 추진 항공 엔진 시제 개발 및 엔진 인증 실증 기술’ 개발 과제를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오는 2028년까지 차세대 중고도무인기(MUAV)에 탑재할 1400마력급 터보프롭 엔진을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무인기의 감항인증을 고려해 초도 비행 허가(IFR) 수준의 엔진 품질 인증 및 실증 기술도 함께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향후 무인기 전력화뿐 아니라 관련 산업 생태계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기 엔진 기술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국제 무기거래 규정(ITAR), 수출 통제(EL) 등 국제 규제로 인해 국가 간 거래나 기술이전이 사실상 제한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술 확보가 곧 전력 독립성과 방산 수출 경쟁력 확보로 이어진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과제 외에도 국과연과 함께 5500파운드(lbf) 터보팬 엔진, 1만파운드급 터보팬 엔진 등 다양한 무인기 엔진 개발에도 참여 중이다. 향후 유인 전투기와 민항기 엔진 개발로도 기술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에 따라 대한민국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에 탑재할 1만6000파운드(후기연소기 작동 시 2만4000파운드)급 항공 엔진의 독자 개발도 준비 중이다.
회사 측은 “설계부터 제작, 인증, 유지·보수(MRO)까지 항공 엔진의 전(全)주기 역량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보유한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무인기 엔진을 독자 개발해 자주국방과 방산 수출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