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대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정책 불확실성에 신중 기조

메뉴

경제

대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정책 불확실성에 신중 기조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02 14:13

투자 확대보다 유지 비중 압도적…노동시장·세금·규제, 국내 투자 걸림돌 지목

올해하반기에도상반기수준의투자를계획하는대기업이10곳중8곳에달하는것으로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올해하반기에도상반기수준의투자를계획하는대기업이10곳중8곳에달하는것으로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올해 하반기에도 상반기 수준의 투자를 계획하는 대기업이 10곳 중 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공급망 불안 등 대외 리스크 속에서도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기대감이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와 함께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 하반기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120곳)의 78.4%가 “상반기와 비슷한 규모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투자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13.3%, 확대는 8.3%에 그쳤다.

하반기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힌 기업들은 ▲신정부 정책 변화 기대(20.0%) ▲노후 설비 교체·개선(20.0%) ▲업황 개선 기대(16.7%)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반대로 축소 계획을 밝힌 기업들은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가능성 등 정책 불확실성(33.3%) ▲지속적인 내수 부진(25.0%) ▲고환율·원자재가 상승(14.6%)을 리스크로 지목했다.

대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투자, 상반기 수준 유지”…정책 불확실성에 신중 기조
하반기 투자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중국 등 주요국 경기 둔화(26.4%)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글로벌 공급망 불안(23.6%)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15.0%) ▲금융·자본시장 위축(14.2%)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투자 여건에 대한 애로 사항으로는 ▲경직적인 노동시장(18.6%) ▲세금·부담금(18.1%) ▲투자 관련 규제(16.9%) ▲전력 등 에너지 비용(14.2%)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경협은 이에 따라 대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결정할 때 세제 및 규제 부담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국내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로 ▲세제 지원·보조금 확대(27.5%) ▲내수 경기 활성화(15.3%) ▲신산업·투자 관련 규제 완화(11.9%) 등을 우선순위로 제시했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저성장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선 기업의 모험적 투자가 필수적”이라며 “AI·바이오·컬처 등 미래산업에 대한 세제·금융 지원 확대와 함께 규제 방식을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전환해 기업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79,000 ▲436,000
비트코인캐시 663,000 ▼1,000
이더리움 3,44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410 ▲100
리플 3,043 ▲7
퀀텀 2,676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80,000 ▲440,000
이더리움 3,451,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450 ▲130
메탈 916 ▲2
리스크 519 ▲8
리플 3,046 ▲8
에이다 787 ▲3
스팀 17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00,000 ▲410,000
비트코인캐시 662,000 ▼2,500
이더리움 3,44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2,430 ▲70
리플 3,046 ▲10
퀀텀 2,670 0
이오타 21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