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사용자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설계하는 개방형 연구 플랫폼 ‘UX 스튜디오 서울’을 서울 강남대로 사옥에 정식 개관했다. 기존 사내 전용 협업 공간이었던 UX 스튜디오를 고객 참여형 공간으로 전면 재구성하며, 모빌리티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현대차·기아는 오는 3일, UX 스튜디오 서울을 공식 오픈하고 누구나 방문해 차량 UX 개발 과정에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을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이는 2021년 서초구에 개소한 UX 스튜디오를 강남으로 이전해 새롭게 단장한 것이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1층 오픈 랩(Open Lab)과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Advanced Research Lab)으로 구성되며, 전시·체험·연구가 통합된 복합형 UX 거점으로 조성됐다. 오픈 랩은 일반 고객이 자유롭게 방문해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기반 기술을 체험하고 UX 리서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리서치 랩은 현대차·기아 연구진과 사전 모집된 사용자들이 함께 UX 개발을 수행하는 몰입형 연구 공간이다.
1층 오픈 랩에는 ▲UX 테스트 존 ▲SDV 존 ▲UX 아카이브 존이 마련됐다. UX 테스트 존에서는 차량 UX 개발 과정에서 활용되는 모형과 시뮬레이션을 체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 추적(Eye-tracking) 등 데이터를 실제 개발에 반영한다. SDV 존에서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Pleos Connect’와 E&E 아키텍처 기반 테스트베드 차량을 경험할 수 있다. UX 아카이브 존은 현대차·기아의 UX 진화를 ‘시각’을 주제로 전시하며, 향후 다감각 기반 전시로 확대될 예정이다.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에는 ▲UX 캔버스 및 피쳐 개발 룸 ▲시뮬레이션 룸 ▲UX 라운지 등이 구성됐다. 이곳은 연구진과 사용자들이 실제로 UX 콘셉트를 공동 개발하고 시뮬레이터를 통해 검증하는 공간으로, 6축 모션 플랫폼과 730개 LED 모듈로 구현된 대형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 실차 수준의 몰입형 환경을 제공한다.
현대차·기아는 UX 스튜디오 서울을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설계 초기 단계부터 반영하는 새로운 차량 개발 문화를 확립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UX 리서치에 기반한 사용성 데이터는 향후 생산 모델에 적용돼 브랜드 차별화를 이끄는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김효린 현대차·기아 Feature전략실 상무는 “UX 스튜디오 서울은 단순한 체험 공간이 아니라, 고객의 목소리가 실제 차량 개발에 반영되는 열린 연구 플랫폼”이라며 “편리함을 넘어 감동을 주는 UX를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