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서 긴급 대책회의… 화력발전소 안전관리 강화 논의
민간 전문가 합동점검단 구성해 노후 구조물 전수조사
사용중지 설비까지 집중 점검해 유사사고 예방 총력
경상남도청사 전경. (사진=경남도)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 경상남도는 울산 한국동서발전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7일 도청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도내 화력발전소 전반에 대한 안전 점검에 즉시 착수했다.
이번 회의는 천성봉 도민안전본부장 주재로 열렸으며, 도 사회재난과·에너지산업과·소방본부 대응구조구급과를 비롯해 화력발전소가 위치한 5개 시군, 삼천포화력발전 등 도내 6개 화력발전소 관계자, 유관기관 담당자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도내 화력발전소의 현황을 점검하고, 울산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 노후·사용중지 설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면적인 구조물 점검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도는 민간 전문가와 합동으로 보일러 타워, 해체공정 설비, 고소작업 구조물 등 취약 구역을 중심으로 긴급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천성봉 본부장은 “울산 사고는 노후 구조물 관리 소홀 시 얼마나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도내 모든 에너지시설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안전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소방본부는 국가소방동원령에 따라 119특수대응단과 소방차량·인력(장비 8대, 인력 18명)을 긴급 투입해 현장 구조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경남도는 현재 석탄화력 14기, LNG 3기 등 총 17기의 화력발전소를 운영 중이며, 2026년부터 2031년까지 단계적으로 석탄발전소를 폐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