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전립선 내부 미세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고해상도 초음파 진단기술이 국내 의료 현장에 처음 도입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는 전립선 종양 평가가 가능한 마이크로 초음파 장비를 도입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장비는 29MHz 마이크로 초음파를 기반으로 기존 초음파보다 약 3배 높은 해상도의 실시간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립선과 주변 구조를 선명하게 시각화하며,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병변을 표시하고 표적 조직검사를 실행하는 데 정밀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의료진은 의심 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미세한 조직 변화를 식별하고, 조직검사용 바늘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어 진단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마이크로 초음파는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위험도 식별 시스템인 PRI-MUS(Prostate Risk Identification Using Micro-Ultrasound)와도 연계돼 진단 정밀도를 한층 강화한다. PRI-MUS는 병변의 모양과 크기를 자동으로 분석해 악성 가능성을 1~5단계로 분류하는 시스템으로, 불필요한 조직검사를 줄이면서도 암 병변을 놓치지 않도록 돕는다. 이러한 기능은 조직 채취 지점을 정확하게 선정하는 데도 기여한다.
기존 경직장 초음파는 해상도가 낮아 전립선 종양, 특히 크기가 작은 병변을 발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마이크로 초음파는 MRI로 확인하기 어려운 병변을 찾아낼 수 있을 만큼 높은 해상도와 실시간 영상 기술을 갖추고 있다. MRI에 비해 신체적·심리적·경제적 부담이 적은 점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홍성규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장은 “기존 초음파보다 3배 향상된 고해상도 영상과 정밀한 표적 조직검사는 전립선암 진단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며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해 불필요한 검사와 환자의 불안감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