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삼성전자가 내년도 사업 전략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기반 리더십 중심의 대규모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삼성전자는 25일 부사장, 상무, 펠로우, 마스터 등 총 161명을 승진시키는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올해 승진 인원이 부사장 51명, 상무 93명, 펠로우 1명, 마스터 16명 등 총 161명으로, 지난해 137명 대비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AI·로봇·반도체 등 전략사업에서 성과를 입증한 인재를 중용하고, 젊은 기술 리더 발탁을 강화해 세대교체를 가속화했다는 입장이다.
이번 인사에서 삼성전자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션 크리티컬 분야의 전문 인력을 고르게 승진시켰다. Galaxy용 개인화 데이터 플랫폼·GPU 최적화를 이끈 이윤수 부사장, LLM 기반 생성형 AI 개발을 주도한 이성진 부사장, 초슬림·초경량 기술을 Fold7에 적용한 최승기 상무 등이 대표적 기술 리더로 꼽힌다. 로봇 분야에서는 자율주행·조작기술을 확보한 최고은 상무가 발탁됐다.
반도체(DS)부문에서도 핵심 기술 인력이 대거 승진했다. 서버용 SSD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한 장실완 부사장, Custom SOC 개발을 이끈 박봉일 부사장, HBM4 개발과 수율·양산성 확보를 주도한 유호인 상무 등이 포함됐다. 차세대 V-NAND 신소자 개발을 수행해온 이재덕 펠로우, FinFET·GAA 신소자 개발을 주도한 강명길 마스터 등도 선임됐다.
경영 성과가 뚜렷하고 미래 역할이 기대되는 인물들도 부사장급으로 대거 올라섰다. Galaxy AI 적용과 S25·Fold7/Flip7 신규 폼팩터를 기획한 강민석 부사장, 차세대 Micro RGB TV·무안경 3D 모니터 개발을 이끈 이종포 부사장, 글로벌 통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 황근철 부사장 등이 포함된다.
성과·잠재력을 갖춘 30대 상무와 40대 부사장 발탁도 강화됐다. 로봇 AI 기반 인식·조작기술 개발을 리딩한 권정현 부사장, AI TV 기반 기술을 이끈 김문수 부사장, 생성형 AI 모델 개발을 주도한 이강욱 상무 등이 대표적이다.
다양성과 포용성 확대 기조도 이어졌다. ESG 전략을 이끈 정인희 부사장, 글로벌 구매경쟁력 강화를 이끈 이인실 상무, 데이터 기반 개인화 마케팅을 구축한 최보람 상무 등이 승진했다. 해외 인재로는 중국 메모리·S.LSI 영업을 담당한 제이콥주(Jacob Zhu) 부사장이 포함됐다.
삼성전자는 2026년 정기 임원인사 발표를 마무리했으며, 조만간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확정해 추가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