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26 (수)

더파워

[단독] 헬리녹스, 해외 자회사 2년간 ‘연결 누락’ 정황…일본·중국 법인 회계처리 일관성 논란

메뉴

산업

[단독] 헬리녹스, 해외 자회사 2년간 ‘연결 누락’ 정황…일본·중국 법인 회계처리 일관성 논란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11-26 15:17

사진=헬리녹스제공
사진=헬리녹스제공
[더파워 이경호 기자] 헬리녹스가 2022년과 2023년 재무제표에서 해외 자회사를 연결 대상에서 제외한 뒤, 2023년과 2024년에 잇따라 종속기업으로 편입한 사실이 확인됐다.

26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헬리녹스는 2023년부터 일본 법인 Helinox Japan을, 2024년에는 중국 법인 Helinox Pacific을 각각 연결 범위에 포함했다.

2022년 재무제표에서는 Helinox Japan의 지분율이 100%임에도 해당 법인을 투자자산인 ‘매도가능증권’으로 분류해 연결하지 않았다. 지분 100% 보유 기업은 지배력이 명확해 연결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헬리녹스는 당시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2023년 재무제표에서는 Helinox Japan을 종속기업으로 새롭게 편입했다고 기재하며 회계 처리 시점을 ‘2023년 취득’으로 간주했다. 실제로는 2022년에도 지분율 100%를 보유했던 만큼, 연결 시점 설명이 사실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Helinox Japan 관련 매도가능증권 8275만812원은 2023년 재무제표에서 연결 범위 변경에 따라 제거됐다. 이는 2022년에는 투자자산으로 분류했다가 2023년에 종속기업으로 재인식하면서 발생한 조정이다.

사진=헬리녹스제공
사진=헬리녹스제공


중국 법인 Helinox Pacific은 공시 누락 문제가 더 크다. 2022년과 2023년 재무제표 어디에도 Helinox Pacific이 투자자산인지, 종속기업인지, 지분율이 얼마인지에 대한 기재가 전혀 없다. 그러나 2024년 연결 재무제표에는 Helinox Pacific이 종속기업으로 반영됐으며, 해외 종속기업 연결 시 발생하는 해외사업환산손익 1억1478만8745원이 새롭게 계상됐다.

전년도까지 존재조차 확인되지 않았던 법인이 2024년에 처음 연결된 만큼, 지배력 취득 시점·지분율·연결 편입 근거가 공시되지 않은 점은 회계 기준상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다.

2022년에는 해외 법인이 어디에도 명시되지 않았고, 2023년에는 Helinox Japan만 뒤늦게 종속기업으로 인식됐다. 이어 2024년에는 Helinox Japan과 Helinox Pacific이 모두 연결돼 해외 사업 관련 손익이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등, 해외 자회사의 연결 범위가 매년 크게 달라지는 모습이다.

회계 기준상 지배력 판단은 연속성과 일관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연결 범위가 해마다 달라질 경우 재무제표 이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분 100% 자회사였음에도 2022년에 Helinox Japan을 연결하지 않은 점, Helinox Pacific이 2022·2023년 공시에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가 2024년에 갑자기 연결된 점은 금융당국이 감리 과정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대표적 유형으로 꼽힌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7.82 ▲100.04
코스닥 877.49 ▲21.46
코스피200 559.01 ▲14.3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784,000 ▲12,000
비트코인캐시 795,000 ▲1,500
이더리움 4,39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0,920 ▼30
리플 3,269 0
퀀텀 2,37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752,000 ▼134,000
이더리움 4,39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0,930 ▼30
메탈 616 ▼1
리스크 262 ▼5
리플 3,268 ▼1
에이다 629 ▼2
스팀 11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82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794,500 ▲2,000
이더리움 4,39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0,920 ▲10
리플 3,269 ▲2
퀀텀 2,383 0
이오타 17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