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27 (목)

더파워

네이버·두나무, 10조원 베팅…AI·웹3 결합해 ‘K-핀테크’ 글로벌 승부수

메뉴

산업

네이버·두나무, 10조원 베팅…AI·웹3 결합해 ‘K-핀테크’ 글로벌 승부수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27 10:30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국내 대표 포털 네이버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손잡고 인공지능(AI)과 웹3(Web3)를 결합한 차세대 금융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하는 기업 융합 방안을 확정하고, AI·웹3 생태계 육성을 위해 5년간 1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27일 밝혔다.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27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 사옥 ‘1784’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두나무의 네이버 계열 편입을 골자로 한 기업 융합과 글로벌 진출 전략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전날 각사 이사회가 포괄적 주식 교환을 의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3사 최고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의 AI 역량은 웹3와 시너지를 발휘해야만 차세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산업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빠른 의사결정 체계가 필요하고, 아직 글로벌 기업들이 하지 않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야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송치형 회장은 “3사가 힘을 합쳐 AI와 블록체인이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과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최수연 대표는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과 ‘에이전틱 AI(Agentic AI)’로 불리는 자율형 AI 전환을 기술적 분기점으로 규정하며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글로벌에서 새로운 혁신을 도모하자는 데 네이버와 두나무가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AI와 웹3 관련 생태계 육성을 위해 5년간 10조원을 투자해 국내 개발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K-핀테크의 저력을 글로벌 시장에서 증명하겠다”고 밝혔다. 오경석 대표 역시 “양사의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기술 변곡점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삼는 것이 이번 거래의 본질적인 목표”라고 덧붙였다.

이번 거래가 마무리되면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의 100% 모회사, 두나무는 네이버의 손자회사 지위에 오르게 된다. 네이버는 두나무 경영진으로부터 네이버파이낸셜 주식 의결권을 위임받아 두나무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을 확보하고, 두나무 실적을 연결 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검색·커머스 인프라와 AI 기술, 네이버파이낸셜의 연간 80조원대 결제망, 두나무의 글로벌 톱티어 디지털 자산 거래량과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해 상당한 시너지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양사의 주식 교환 비율을 둘러싼 시장의 혼선은 회사 측 설명으로 일부 해소됐다.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지분가치 비율이 3.064569대 1로 산정됐고, 이를 각사 발행주식 수에 반영한 실제 교환 비율이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2.54주’라고 밝혀, 시장에서 거론되던 1대3 수준의 기업가치 평가와 큰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융합이 네이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3사가 구축할 AI·웹3 기반 ‘K-핀테크’ 플랫폼의 향후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07.65 ▲46.78
코스닥 882.37 ▲5.05
코스피200 567.03 ▲7.66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549,000 ▲435,000
비트코인캐시 811,000 ▼3,000
이더리움 4,539,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1,110 ▲30
리플 3,319 0
퀀텀 2,38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700,000 ▲457,000
이더리움 4,53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1,110 ▼20
메탈 625 0
리스크 264 0
리플 3,317 ▼2
에이다 652 ▲2
스팀 11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5,57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812,000 ▼2,000
이더리움 4,53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1,070 ▼20
리플 3,320 ▲1
퀀텀 2,398 0
이오타 17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