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30 12:43
[더파워=김시연 기자]정부가 작년 2월 발표한 ‘2·4 대책’ 이후 약 1년 간 목표 공급 물량 총 83만6000호 중 약 60% 수준의 후보지를 발굴했다고 평가했다. 30일 국토교통부는 ‘3080+ 주택공급대책(2·4 대책)’ 발표 1주년을 맞이해 그동안의 사업별 추진현황 및 대책 주요 성과 등을 공개했다. 먼저 국토부는 2·4 대책 추진 결과 1년여만에 목표치의 60%를 수준인 50만3000호의 후보지를 발굴했고 이중 신규도심 후보지는 일산·분당 신도시를 합친 17만호 규모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17만호 후보지중 중 서울 후보지만 110곳, 9만7000호 규모로 분당 신도시 규모를 상회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대책 발표 후 9개월 만2022.01.30 12:25
[더파워=유연수 기자] 장기간 거래하지 않아 은행 계좌에서 잠자고 있는 돈을 휴면예금 조회로 찾을 수 있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원권리자를 상대로 휴면예금의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예정 사실을 통보하고 2월 말까지 출연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휴면예금이란 은행, 보험사 등 금융사가 보유한 예금, 보험금 중에서 관련법에 따른 청구권 소멸시효가 완성됐으나 찾아가지 않은 돈이다.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멸시효가 완성된 휴면예금은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출연돼 제도권 금융사 이용이 어려운 저소득·저신용자의 자활과 자립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금융사들은 진흥원과의 협약에 따라 매년 2월 휴2022.01.30 11:56
[더파워=조성복 기자] 정부가 83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며 지난해 발표한 2·4 대책 추진 경과를 30일 발표했다. 특히 사전청약 등을 동원한 이번 대책을 통해 공급시차를 단축하고 서울 아파트가격도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집값이 본격적 하락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30일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5년까지 목표 물량인 83만6000가구 가운데 60% 수준인 50만3000가구 후보지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2·4 대책은 도심복합(19만6000가구), 공공정비(13만6000가구), 소규모정비·도시재생(14만 가구), 공공택지(36만4000가구) 등을 통해 서울 32만 가구 등 전국 대도시권에 총 83만6000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이 담겼다.국토부가 마련한 후보지 가운데2022.01.30 11:40
[더파워=박현우 기자]공정거래위원회가 대규모 내부거래 등의 공시 기한을 어긴 대기업집단(공시대상 기업집단)이 이같은 위반사항을 빠른 시일 내 수정할 시 과태료를 깎아주는 방안을 추진한다. 30일 공정위는 이러한 내용 등이 담긴 공시제도 개편 연구용역을 올해 상반기 중 진행한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작년 5월 지정된 71개 대기업집단 소속 2612개사를 상대로 3개 항목에 대한 공시 이행 여부를 점검한 결과 40개 기업집단의 소속 107개사가 총 131건을 위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지연공시 항목 위반은 전체 대비 약 76.3%(100건)를 차지했다. 공정위는 매년 마다 대기업집단의 ‘대규모 내부거래의 이사회 의결·공2022.01.30 11:12
[더파워=김시연 기자]이달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 거래대금이 가장 많은 종목은 LG화학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20거래일간 LG화학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1조385억원(일평균 519억원)으로 공매도 대상인 코스피200·코스닥150 지수 구성 종목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LG화학의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작년 12월 일평균 137억원에서 277.8% 증가한 수치다. 또한 LG화학은 장 종료일인 지난 28일 기준 공매도 거래대금이 380억1600만원(11.61%)으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거래소는 이처럼 LG화학의 공매도가 크게 증가한 원인으로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코스피(유가증권시2022.01.28 11:33
[더파워=유연수 기자] 우리금융지주의 자회사 우리은행은 금융권 최초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활용해 지점 등에서 대면으로 실명확인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행정안전부-한국조폐공사와 동반 구축해 시행한다고 28일 밝혔다.‘모바일 운전면허증’은 행정안전부 디지털 정부 혁신 추진 계획 및 디지털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27일 시범 발급을 시작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정부 발행 공식 디지털 신분증으로 블록체인 DID (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신원 증명) 기술이 적용되어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개인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 선택해 제공이 가능하다.면허시험장과 경찰서 등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은2022.01.28 11:31
[더파워=김시연 기자]LG유플러스가 올해부터 배당성향을 4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28일 LG유플러스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중장기 배당정책 안내’를 통해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위해 2022년 사업연도부터 별도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일회성 비경상이익 제외)의 40% 이상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배당정책으로 상향 변경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LG유플러스가 공시한 ‘현금·현물배당 결정’에 따르면 회사의 지난 2021년 배당성향은 35%다. 지난해 연말 배당금은 총 1504억3992만원이며 보통주 1주당 350원의 현금을 지급한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주주총회 승인 과정을 거쳐 현금배당을 확정할 예2022.01.28 11:01
[더파워=조성복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은 28일 기업공개(IPO) 철회신고서를 제출하고 유가증권시장 상장 계획을 연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IPO를 통해 최대 1조2000억원을 조달하려던 당초 계획이 결국 무산됐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최종 공모가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했으나 회사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제반 요건을 고려해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공동대표주관회의 등 동의에 따른 결정이라는 부연이다.이어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에게 주식을 배정하지 아니한 상태이며, 일반투자자에게도 청약을 실시하기 이전이므로 투자자 보호상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앞서 현대자동차그룹 건설 계열2022.01.28 10:39
[더파워=최병수 기자]1968년 창립한 포스코그룹이 54년만에 지주사 체제로 본격 전환한다. 28일 포스코그룹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타워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물적분할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는 의결권 있는 주식수 기준 75.6%의 주주가 물적분할 안건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했다. 또한 출석주주 중 89.2%가 지주사 전환에 찬성표를 던졌다. 포스코그룹의 지주사 전환은 참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통과된다. 이날 포스코그룹에 대한 물적분할안이 통과됨에 따라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상장사 지위를 유지하며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 및 투자 관리,2022.01.28 10:25
[더파워=유연수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최근 코스피가 연일 하락세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여타 주요국 대비 낙폭이 과도한 측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한국 경제의 기초 여건이 양호해 과도한 불안 심리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계속해서 하락세를 기록하는 코스피와 관련해 시장의 불안감을 달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 위원장은 이날 금융위원회 간부들과 시장 동향 및 리스크 요인을 점검한 회의에서 “어제(27일) 국내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한 데 이어 간밤 미국 주가도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등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되고 있는 양상”이라고2022.01.27 16:02
[더파워=유연수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 첫날 ‘따상’(공모가의 2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진입)에 실패한 뒤 시초가 대비 하락 마감했다.27일 LG에너지솔루션은 시초가 대비 15.14%(9만2000원) 하락한 50만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공모가인 30만원보다는 68.3% 상승한 수준이다.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공모가인 30만원의 두 배에 소폭 미치지 못한 59만7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했다. 이후 장중 59만8000원까지 올랐지만 오전 내내 50만원 선에서 공방을 벌였다. 특히 오전 거래에 외국인 매도가 집중되면서 장중 한 때 24.62% 하락한 45만원까지 내려오기도 했다.LG에너지솔루션의 시가총액은 118조1700억원으로 삼성전자(005930)(425조2022.01.27 14:35
[더파워=김시연 기자]작년 3월 기준 국회의원이 보유한 아파트 재산 신고가액은 총 1840억원, 의원 1인당 평균 8억70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같은 시기 이들이 보유한 아파트 시세는 신고가액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축소 신고 의혹이 제기됐다. 27일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1대 국회의원 아파트재산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경실련은 국회의원들이 아파트 재산을 축소 신고 했다고 지적했다. 국회의원들이 신고한 아파트 재산가액이 총 1840억원, 1인당 평균 8억7000만원이지만 조사결과 2021년 3월 시세를 반영하면 국회의원들의 아파트 재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383,000 | ▲333,000 |
비트코인캐시 | 701,000 | ▲1,000 |
이더리움 | 4,114,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70 | ▼120 |
리플 | 3,988 | ▼14 |
퀀텀 | 3,151 | ▼1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227,000 | ▲222,000 |
이더리움 | 4,109,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10 | ▼180 |
메탈 | 1,082 | ▼5 |
리스크 | 601 | ▼4 |
리플 | 3,983 | ▼20 |
에이다 | 1,020 | ▼8 |
스팀 | 19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29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700,500 | ▲500 |
이더리움 | 4,114,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660 | ▼100 |
리플 | 3,984 | ▼23 |
퀀텀 | 3,185 | ▲73 |
이오타 | 307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