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작년 증시 불공정 거래 10건 중 7건 '미공개정보' 이용

메뉴

경제

작년 증시 불공정 거래 10건 중 7건 '미공개정보' 이용

김시연 기자

기사입력 : 2022-02-15 15:33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 지난해 적발한 불공정거래 사건 중 109건 금융위 통보

15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해 적발한 이상거래 중 109건을 금융위원회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15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해 적발한 이상거래 중 109건을 금융위원회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거래소가 지난해 적발한 불공정거래 사건 10건 가운데 7건은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불법 행위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해 적발한 이상 거래를 심리해 이중 109건의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을 금융위원회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발생한 미공개정보 이용 사건은 77건(70.6%)으로 2020년 51건(45.5%)에 비해 크게 늘었다.

특히 지난해 미공개정보 이용 사건 중 백신·치료제·임상 등 코로나와 관련된 주제와 2차전지·가상화폐·자율주행차 등 미래산업 테마를 포함한 호재성 정보 이용한 사례는 66.2%나 차지했다.

이어 시세조종은 13건(11.9%), 부정거래 10건(9.2%), 기타 5건(4.6%), 보고의무위반 4건(3.7%)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는 현물시장의 경우 코스닥이 71건(65.1%)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코스피 31건(28.4%), 코넥스 3건(2.8%) 순이었다. 파생상품 등에서는 4건(3.7%)의 위법행위가 발생했다.

연도별 혐의통보 건수는 2017년 117건, 2018년 118건, 2019년 120건, 2020년 112건, 2021년 109건 등이다.

거래소 측은 “지난 2019년부터 2020년은 라임·옵티머스 펀드와 관련된 부정거래·시세조종 혐의종목이 이례적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는 바이오, 미래사업 테마 등 상장사 임직원의 사회적 이슈를 이용한 미공개정보 이용행위가 증가했다”며 “시세조종행위, 부정거래, 기업사냥형 불공정거래 등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거래소는 금융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대선테마주 및 풍문유포행위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다양화·지능화되는 시세조종행위에 신속하게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9.70 ▲23.93
코스닥 799.55 ▼0.92
코스피200 432.08 ▲4.0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09,000 ▲272,000
비트코인캐시 697,000 ▼5,500
이더리움 4,121,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5,770 ▼250
리플 3,971 ▼33
퀀텀 3,160 ▼4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00,000 ▲319,000
이더리움 4,12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5,800 ▼160
메탈 1,082 ▼13
리스크 606 ▼5
리플 3,977 ▼32
에이다 1,025 ▼16
스팀 19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70,000 ▲290,000
비트코인캐시 698,500 ▼4,500
이더리움 4,123,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750 ▼260
리플 3,974 ▼16
퀀텀 3,155 ▼54
이오타 30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