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weekly IPO] 셀비온·한켐·인스피언 등 5개사 공모주 청약 돌입

메뉴

경제

[weekly IPO] 셀비온·한켐·인스피언 등 5개사 공모주 청약 돌입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0-07 10:00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2024년 10월 2주차(7일~11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인스피언, 한켐, 셀비온, 루미르, 와이제이링크 등이 이번주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일반청약에 나선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인스피언·한켐·셀비온은 이날과 8일 양일간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공모 청약을 실시한다.

이밖에 루미르, 와이제이링크, 신한제14호스팩은 오는 10일부터 이틀간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 셀비온

먼저 셀비온은 앞서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5영업일 간 진행한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희망 밴드(1만~1만2200원) 상단 대비 23% 높은 1만5000원으로 결정했다. 이에 따른 총 공모금액은 287억원, 시가총액은 1910억원 수준이다. 주간사는 대신증권이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셀비온은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전문 기업이다.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립선암 치료제 방사성의약품 'Lu-177-DGUL'을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개발하고 있다.

'Lu-177-DGUL'은 전립선 특이 세포막 항원(PSMA)을 표적으로 하는 전립선암 치료 및 진단을 위한 Theranostics 신약으로, KDDF(국가신약개발사업단)에서 혁신치료기술로서 2023년 국가신약개발 우수 10대 과제로 선정했으며, KDDF로부터 비임상 및 임상 단계 연구개발 비용 지원을 받았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임상 2상 시험에서 독립적영상평가위원회 결과를 통해 Lu-177-DGUL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Lu-177-DGUL 약물은 전립선암 혁신치료기술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 단계 희귀의약품 및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GIFT) 프로그램 제11호 품목으로 지정 받았다.

◇ 인스피언

인스피언은 희망 밴드(8000원~1만원)를 넘어선 1만20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 이를 통해 총 270억원을 모집한다. 시가총액은 1216억원 수준이다. 앞서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선 2323개사가 참여해 106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간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인스피언은 지난 2009년 설립된 보안 솔루션 기업이다. 제조, 금융, 서비스, 공공 등 전 분야의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SAP 구축/유지보수 컨설팅, 보안솔루션, EDI 솔루션을 개발, 판매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한켐

한켐 역시 확정공모가를 희망밴드 상단을 초과한 1만8000원에 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총 공모금액은 약 288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445억원 수준이다. 주간사는 신영증권과 유진증권이다.

한켐은 1999년 설립된 첨단 화학소재 분야 CDMO 기업이다. OLED 발광층, 정공주입층 등에 사용되는 유기화합물 신규 후보물질 개발 및 양산화 공정 확립까지 전 과정을 수행한다.

◇ 루미르

위성 개발기업 루미르는 10~11일 상장 주관사인 NH투자증권을 통해 일반청약을 시행한다. 희망 공모가는 1만6500~2만500원으로 제시했다. 공모금액은 495억~615억원이다.

루미르는 우주산업에서 주야간 전천후 지구관측이 가능한 SAR 위성시스템과 위성 영상·정보 서비스, 인공위성 관련 전장품, 우주기술을 활용한 민수장치인 대형 선박용 솔레노이드 제조를 수행하고 있다. 위성제조 분야에서 대한민국 인공위성의 다양한 기술과 전장품들의 국산화를 이뤄냈으며, 최근에는 독자 기술로 누리호 3차 부탑재위성인 LUMIR-T1을 민간기업 최초로 발사 및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 와이제이링크

표면실장기술(SMT) 공정 장비 전문기업인 와이제이링크도 10~11일 일반청약 절차를 밟는다. 총 공모 주식 수는 356만주이며 주당 공모 희망밴드는 8600~9800원이다. 오는 18일 상장 예정으로 상장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지난 2009년 설립된 와이제이링크는 SMT 공정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스마트 장비를 개발·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이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테슬라·스페이스X 등을 비롯한 다수의 글로벌 톱티어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베트남 생산법인을 포함하여 멕시코, 인도, 유럽, 중국, 일본에 영업법인을 운영중에 있으며, 멕시코법인은 생산법인으로 전환 후 2025년 상반기에 공장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고, 인도법인도 생산법인으로 전환 후 2027년 공장 가동을 계획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34,000 ▲191,000
비트코인캐시 662,500 ▼1,500
이더리움 3,447,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90 ▲30
리플 3,043 ▲3
퀀텀 2,677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05,000 ▲237,000
이더리움 3,44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410 ▲20
메탈 919 ▲3
리스크 519 ▲4
리플 3,047 ▲5
에이다 791 ▲7
스팀 17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0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662,000 ▼2,000
이더리움 3,44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420 ▲10
리플 3,046 ▲4
퀀텀 2,670 0
이오타 21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