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weekly IPO] 노머스·닷밀 등 8개사 일반 청약 진행

메뉴

경제

[weekly IPO] 노머스·닷밀 등 8개사 일반 청약 진행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1-04 10:16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2024년 11월 2주차(4일~8일)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는 노머스·닷밀 등 8개사가 일반 청약을 진행한다.

◆노머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엔터테크 기업 노머스는 4일~5일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 나선다. 노머스의 수요예측에는 총 1042개의 기관이 참여했으며, 경쟁률은 288:1을 기록했다. 공모가는 공모 밴드 상단인 3만200원으로 확정됐다.

오는 12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며, 상장 주관사는 대신증권이 맡았다.

2019년에 설립된 노머스는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아티스트의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솔루션을 제공하며, 아티스트의 직접 활동과 함께 간접 활동으로도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사업을 진행하며 팬들의 연령 및 국가별 평균 소비 패턴 등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아티스트 IP 별 맞춤형 투어 기획과 팬들의 선호도에 맞춘 콘텐츠와 커머스 상품을 기획하는 데에 큰 강점을 갖고 있다.

노머스는 이러한 강점들을 바탕으로 아티스트 IP를 빠르게 확보하며 2021년 매출액 92억원에서 2023년 423억원으로 연평균 114.4% 성장했다. 올해는 반기 기준 매출액 277억원, 영업이익 31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닷밀

실감미디어 전문기업 닷밀이 4~5일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다. 확정 공모가는 1만3000원이다. 코스닥 상장일은 오는 11월13일이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수요예측에 국내외 2151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1082대 1을 기록했다. 공모가 기준 총 공모 금액은 156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1189억원 수준이다.

닷밀은 2015년에 설립된 실감미디어 전문기업이다. 실감미디어는 시청각 콘텐츠에 오감을 자극하는 요소를 결합해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닷밀은 프로젝션 맵핑, 홀로그램 등 첨단 기술을 실제 공간에 도입해 다양한 몰입형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회식, 6·25전쟁 70주년 추념식, 통영 디피랑 등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글로벌 진출에도 본격 나서고 있다. 베트남 푸꾸옥에 디지털 테마파크 ‘아이스 정글’을 오픈했으며, 필리핀 클락 지역에서는 ‘글로우사파리’를 조성하기 위한 우선협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닷밀은 홍콩, 일본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자사 지적재산권(IP) 테마파크 해외 라이선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오름테라퓨틱

오름테라퓨틱의 주당 공모 희망가 범위는 3만~3만6000원이다. 지난달 30일까지 수요 예측을 실시했고 오는 5~6일 이틀 동안 공모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오름테라퓨틱은 이중 정밀 표적 단백질 분해(TPD²®) 방식을 기반으로 분해자-항체 접합체(DAC) 분야를 개척하는 바이오 기업이다. DAC는 항체를 통해 표적 단백질 분해(TPD) 작용제를 표적 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세포 내에서 관심 단백질을 분해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법으로 꼽힌다.

◆쓰리빌리언

인공지능(AI) 기반 희귀유전질환 진단 검사 전문기업 쓰리빌리언이 최종 공모가를 희망 밴드(4500~6500원)내인 4500원에 확정했다. 수요예측엔 국내·외 809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254.6대 1을 기록했다.

총 공모금액은 144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1415억원 수준이다. 5일과 6일, 양일간 일반투자자 청약을 거쳐 오는 14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인간 유전자의 총합인 유전체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유전변이의 병원성(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을 자동으로 판독하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해당 기술을 활용해 희귀 유전질환 진단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인공지능 유전변이 병원성 판독 기술은 병원성에 대한 근거 자료를 자동 취합해 병원성 여부를 자동 해석하는 인공지능인 EVIDENCE, 해석 근거가 없는 유전변이의 병원성 수준을 예측하는 인공지능인 3Cnet, 그리고 병원성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 다수의 유전변이를 환자의 질병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화하는 인공지능인 3ASC와 그 외 다양한 기술적 요소를 결합하여 구현한 시스템 기술이다.

쓰리빌리언은 상장 후 △세계 최대 시장 미국 진출 및 신흥국 선점 △축적된 희귀 유전체 데이터 기반 희귀유전질환 치료제 개발 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에스켐

OLED 핵심 소재 합성·정제 전문 기업 에스켐은 지난 1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하며 공모가를 확정한 후 오는 7일부터 일반청약에 돌입한다. 희망 공모가는 1만3000~1만4600원으로 공모금액은 253억~284억원이다. 밴드 상단 기준 예상시가총액은 1136억원 수준이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2014년 설립된 에스켐은 OLED의 유기층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244억원, 영업이익은 19억원을 기록했다.

에스켐은 "글로벌 기업들이 OLED 패널 적용을 TV, 스마트폰에서 태블릿, 노트북 등 정보통신(IT) 기기와 전장용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유기 소재를 공급하고 있는 에스켐의 합성·정제 전문성이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에스켐은 이윤 극대화를 위해 고부가가치 품목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합성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은 2021년 3개에서 지난해 18개로 늘었다. 오는 12월부터는 고부가가치 제품인 신규 합성 소재 2종을 본격 공급할 예정이다. 에스켐은 상장을 통해 조달한 금액의 약 20%를 소자 평가 설비에 투자할 계획이다.

◆엠오티

글로벌 2차전지 조립설비 기업 엠오티는 이번 상장에서 175만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1만2000원∼1만4000원으로, 공모 규모는 210억∼245억원이며 상장 후 시가총액은 1390억∼1621억원으로 예상된다.

수요예측은 4일까지 진행되며 일반 청약은 오는 7~8일 양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엠오티는 조립 공정 노하우를 자체 구축했으며 전고체 배터리,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LFP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상품화에 성공했다. 2021년에는 설비 업체 중 유일하게 삼성SDI의 베스트 파트너로 선정됐고, 삼성SDI 협력회사 협의회(SSP) 회원사로 가입했다.

대표를 포함한 주요 임원이 삼성SDI 출신이며, 임직원 107명 중 실무 중심의 엔지니어가 79명(73%)이고 이 중 46명(58%)이 5년 이상 조립 설비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위츠

전력전송 솔루션 전문기업인 위츠는 오는 7일과 8일 양일간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진행한 뒤 20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5300~6400원, 총 공모금액은 159억~192억원이다. 상장 주관은 신한투자증권이 맡았다.

위츠는 무선충전모듈과 무선충전기 등 전력 전송에 필요한 솔루션을 개발·공급하는 기업이다. 2019년 모회사인 켐트로닉스가 삼성전기 무선충전 사업을 인수하면서 설립됐다. 주요 사업은 정보기술(IT), 가전, 전장 부문으로 나뉜다.

위츠의 IT 사업 분야인 스마트폰 무선 충전 사업은 특허를 기반으로 기술적 진입장벽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로 모바일·웨어러블 기기 무선충전 솔루션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 모듈과 차량 탑재용 스마트폰 무선 충전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KG모빌리티와 공동으로 전기차 무선충전기능이 탑재된 전기차량 개발에 나섰다.

◆사이냅소프트

사이냅소프트는 오는 8일과 11일 공모주 청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총 공모 주식 수는 101만주이며 주당 공모 희망밴드는 2만1000~2만4500원이다. 이달 19일 코스닥 상장 예정으로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2000년에 설립된 사이냅소프트는 디지털 문서 활용 분야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을 입증하며 삼성전자, SK, 현대, LG 등의 대기업을 포함한 7000개 이상의 민간 기업, 80%의 정부기관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796,000 ▼124,000
비트코인캐시 659,000 ▼4,500
이더리움 3,441,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2,320 ▼100
리플 3,036 ▼5
퀀텀 2,671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35,000 ▼192,000
이더리움 3,44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110
메탈 916 0
리스크 515 ▼0
리플 3,036 ▼6
에이다 788 ▲1
스팀 17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0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660,000 ▼5,500
이더리움 3,442,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100
리플 3,037 ▼8
퀀텀 2,678 ▲8
이오타 21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