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관광공사, 관광생활인구 분석 통한 지역별 맞춤형 해법 제시

메뉴

문화

관광공사, 관광생활인구 분석 통한 지역별 맞춤형 해법 제시

이설아 기자

기사입력 : 2025-03-20 13:22

관광공사, 관광생활인구 분석 통한 지역별 맞춤형 해법 제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는 20일, 관광생활인구가 인구감소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지역별 맞춤형 관광 전략을 담은 보고서 ‘인구감소지역 관광 프로파일링 분석’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공사는 이동통신 및 신용카드 데이터, 설문조사, 기타 공공데이터 등 총 231개의 데이터 변수를 활용하여 인구감소지역 89개, 인구감소 관심지역 18개, 총 107개 지역의 관광 환경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관광 특성에 따른 패턴을 도출하고 총 8개의 관광유형을 제시했다.

8개의 관광유형은 ▲해양 중심 원거리 숙박ㆍ체류형 관광지역(유형1) ▲자연·이벤트 중심 원거리 비체류형 지역(유형2) ▲자연·레저·테마파크 중심 근거리 비체류형 지역(유형3) ▲자연·이벤트 중심 근거리 비체류형 지역(유형4) ▲시내관광·문화체험 중심 근거리 비체류형 지역(유형5) ▲복합자원 중심 중거리 숙박·체류형 관광 집중 지역(유형6) ▲이벤트·역사유적 중심 근거리 비체류형 지역(유형7) ▲해양·레저 중심 중·원거리 숙박·체류형 지역(유형8) 등이다.

더불어, 최근 3년간 인구감소지역을 방문한 관광생활인구 2,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관광생활인구로 인한 방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형은 ‘복합자원 중심 중거리 숙박·체류형 관광 집중 지역(유형6)’으로 가족 단위 방문객의 비중이 높고 평균 체류 기간 2.39일, 숙박 경험률 90.5%, 1인당 1일 지출 비용 223,144원 등 모든 항목에서 방문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공사는 앞서 수행한 인구감소지역의 프로파일링 분석으로 도출된 관광유형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인구감소지역의 핵심 현안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지역별 솔루션을 제시했다.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솔루션은 한국관광데이터랩에 올해 구현될 예정이다.

공사 관광데이터실 김성은 실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경기도 가평군 등 디지털 관광주민증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관광지의 방문객 증가가 눈에 띄게 증가했고 소비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라며 “공사는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90,000 ▲39,000
비트코인캐시 662,000 ▲1,000
이더리움 3,44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390 ▲10
리플 3,042 ▲3
퀀텀 2,667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19,000 ▲98,000
이더리움 3,453,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2,390 ▲10
메탈 919 ▲2
리스크 514 ▼1
리플 3,043 ▲4
에이다 789 ▲1
스팀 17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0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63,000 ▲500
이더리움 3,45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50 ▼90
리플 3,043 ▲3
퀀텀 2,665 ▲1
이오타 21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