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10 (수)

더파워

서대문·광명·제주 잇단 유괴 시도…학부모들 "애들 혼자 못 보내겠다"

메뉴

이슈포커스

서대문·광명·제주 잇단 유괴 시도…학부모들 "애들 혼자 못 보내겠다"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9-10 11:27

서대문 초등생 유괴미수 일당, 영장실질심사/사진=연합뉴스
서대문 초등생 유괴미수 일당, 영장실질심사/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경호 기자] 초등학생을 노린 유괴 시도가 열흘 사이 서울·경기·제주에서 연이어 발생하며 학부모들의 불안이 극도로 높아지고 있다. 사건들의 양상은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저학년 아동을 노리고 하굣길과 생활 공간을 위협했다는 점에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서울 서대문구 유괴 미수범들이 구속영장 기각으로 풀려난 뒤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지자 경찰이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서울경찰청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늘부터 10월 12일까지 5주간 서울시내 60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범죄 예방 종합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등하굣길 특별안전 대진단 △경찰력 집중 배치 △아동범죄 신고 대응 강화다. 먼저 경찰·구청·교육청이 합동으로 통학로에 숨어 있는 범죄, 교통사고, 재난 안전사고 등 위해 요소를 발굴하는 ‘등하굣길 특별안전 대진단’을 실시한다. 이어 경찰서와 기동순찰대 소속 경찰관을 등하굣길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녹색어머니회·자율방범대 등 민간 조직과도 협업해 현장 대응을 강화한다.

특히 아동 관련 신고는 모두 ‘코드1’ 이상으로 분류해 접수하기로 했다. 경찰 112 신고 대응은 긴급도에 따라 코드0~코드4로 나뉘는데, 코드0과 코드1은 ‘최단 시간 내 출동’이 원칙인 최상위 긴급 단계다. 기존에는 아동 사건 일부가 코드2로 접수됐지만 앞으로는 코드1 이상으로 상향해 초기부터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아동 관련 범죄는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현장 대응 속도를 높이고 민관 협력을 강화해 학부모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서울 서대문구에서는 8월 말 SUV 차량을 탄 20대 남성들이 초등생을 상대로 세 차례 이상 유인을 시도했다. 아이들이 겁에 질려 도망치는 모습과 차량이 뒤따르는 장면이 CCTV에 포착됐지만, 경찰은 처음에 “유괴 정황 없음”으로 판단했다가 추가 신고 접수 후 재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3명을 체포해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법원은 일부 기각했다.

경기 광명시에서는 지난 8일 밤 고등학생이 아파트 단지에서 여아를 강제로 끌고 가려다 붙잡혔다. 경찰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미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범행 과정에서 강제적 접촉이 있었다는 진술까지 나오면서 충격을 더했다.

제주 서귀포시에서는 9일 오후 30대 남성이 학교 인근 도로에서 여아에게 ‘재밌는 구경’과 ‘알바’를 미끼로 차량에 태우려 했다. 아동은 거절 후 차량번호를 확인하려 하자 남성이 급히 달아났고, 경찰은 약 3시간 만에 피의자를 긴급체포했다. 제주도교육청은 즉시 학교 현장에 주의 공문을 내려보냈다.

연이은 사건에 학부모들의 불안은 증폭되고 있다. 서대문에서 아이를 키우는 한 학부모는 “아이를 혼자 학원에 보내기가 겁난다. 경찰이 초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뉴스에 더 분노가 치민다”고 말했다.

광명 지역 학부모는 “아파트 단지에서조차 아이가 안전하지 않다는 게 가장 충격”이라고 호소했다. 제주 지역 학부모 역시 “아이가 범인을 피해서 도망쳤기에 다행이지, 그 순간만 달랐다면 어땠을지 생각하면 끔찍하다”며 “사건이 터지고 나서야 대책을 내놓는 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고 꼬집었다.

아동 유괴 시도가 실제 범죄로 이어지지 않았더라도 그 자체로 심각한 범죄 행위다. 범인들은 아동의 판단력 부족을 노려 ‘집에 데려다주겠다’, ‘알바를 주겠다’ 등 교묘한 언어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거절·도망·신고 행동을 반복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이 성범죄 목적을 가지고 범행을 시도하는 사례까지 드러난 만큼, 청소년 범죄 예방을 위한 심리 상담과 교육적 개입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경찰은 뒤늦게 대응책을 내놨다. 학교 주변 순찰을 확대하고, 등하굣길 합동 캠페인을 벌이며, CCTV 사각지대를 점검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학부모들의 시선은 차갑다. “아이가 위험을 눈치채고 도망쳤기에 다행일 뿐, 경찰과 제도에 의존할 수 없다는 불신이 더 커졌다”는 게 공통된 반응이다.

결국 이번 사건들은 제도적 허점을 보완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경찰·학교·교육청 간 ‘즉시 정보 공유’ 체계를 정립하고, 위험 신호가 접수될 경우 자동 상향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아동 대상 범죄 심리에 대한 연구와 학부모·교사의 안전교육 강화도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14.53 ▲54.48
코스닥 833.00 ▲8.18
코스피200 450.05 ▲8.7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845,000 ▲341,000
비트코인캐시 806,500 ▲500
이더리움 6,012,000 0
이더리움클래식 28,710 ▲20
리플 4,120 ▼4
퀀텀 3,62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925,000 ▲436,000
이더리움 6,012,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8,750 ▲30
메탈 1,003 ▼4
리스크 526 ▲1
리플 4,123 0
에이다 1,222 ▲3
스팀 18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940,000 ▲460,000
비트코인캐시 806,500 0
이더리움 6,01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8,730 ▲50
리플 4,120 ▼4
퀀텀 3,637 ▲15
이오타 26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