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피해 비중에도 줄지 않는 피해 건수
피해 수법 고도화에 대응한 정부·지자체 교육 확산 절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
[더파워 이용훈 기자] 2025년 8월 기준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자 16,765명 가운데 60대 이상이 5,131명으로 30.6%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16%)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로, 고령층 노인의 피해 비중이 해마다 뚜렷하게 커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통계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대별 현황’ 자료를 토대로 했으며,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 전체는 2020년 약 3만 건대에서 2023년 1만 8천여 건, 2024년 2만 건대 수준으로 감소해 왔지만, 60대 이상 피해자는 여전히 5천여 건 수준을 유지하며 피해 비율이 상승하는 역설적 흐름이 확인된다.
피해 금액 측면에서도 최근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20년 기준 전체 피해액은 약 7,000억 원 수준이었으나 2023년에는 4,472억 원대로 감소했다가 2024년 8,545억 원, 2025년 8월 기준 8,856억 원까지 다시 늘었다는 점이 통계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매체 분석 결과, 60대 이상 고령층을 겨냥한 수법은 점점 정교해지고 있으며, 특히 기관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방식이 빈번하다. 경찰청 발표에 따르면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의 경우, 전체 피해액의 약 75~7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유형의 경우 건당 피해액이 수천만 원에 이르는 고액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한 뒤 피해자의 스마트폰 제어, 위치 추적, 통화 내용 조작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수법이 동원되고 있다. (예: 2025년 상반기 집계 기준 기관사칭형 피해액 비중 76.2%)
고령층 피해 중에서도 특히 60대 여성 비중이 높다는 분석도 있다. 경찰청이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60대 여성을 노린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밝힌 바에 따르면, 고령층 피해자 중 여성 비율이 높고, 범죄 조직은 정보 부족과 정서적 고립 등의 약점을 노린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연령대별 현황 / 출처=남인순 의원실
한편, 20대 이하의 보이스피싱 피해율도 증가 추세를 보인다는 보도도 잇따르고 있다. 일부 보도에서는 20대·30대 청년층 비중이 기관사칭형 피해의 절반을 넘는 경우도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남인순 의원은 “60대 이상 노인 보이스피싱 피해 증가는 단순 개인의 금전 손실을 넘어 삶의 안전과 존엄을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라며 “피해 예방을 위한 행동 지침이 일상화되도록 정부 차원의 홍보와 예방 교육, 특히 디지털·금융 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보 격차 없이 어르신들이 정보서비스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는 노인 복지기관·경로당 등을 중심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경기도는 2025년 7월부터 노인기관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