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한화생명은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을 앞두고 종신보험 인식과 활용 가치를 분석한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한화생명과 KMAC이 함께 지난 9월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종신보험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반응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9.4%는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생전 혜택이 없다’고 답했으며, 이어 ‘보험금 가치 하락’ 23.3%, ‘유연한 활용의 어려움’ 21.1% 순으로 나타났다. 종신보험은 여전히 가족 보장 가치가 높지만, 비싼 보험료와 비유동성 자산이라는 인식도 강하게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후 중심 구조를 생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기능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컸다. 제도 설명 후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은 53.4%였으며, 제도를 통한 종신보험 부정 인식 완화 정도도 평균 63.74점으로 나타났다. 활용 기대 분야는 은퇴 후 생활비 보완(37.0%), 중대질병 의료비(24.4%), 간병비(23.3%)에 집중됐다.
특히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는 기존 종신보험 가치와 생애 자산 활용 가치에 가장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은퇴 후 생활비 보완에 대한 필요성은 40대 41.0%, 50대 44.9%로 나타났으며, 자산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소비자들은 상품 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함께 요양·간병 서비스 등 실질적 부가 서비스 결합(68.6%)이 신뢰 확보에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제도적 혁신”이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