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1 11:20
비타민C 보충제품을 사먹지 않아도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본부가 남녀 7천 200여 명을 표본 조사한 결과, 우리 국민들은 매일 먹는 음식으로 하루 비타민C 권장량을 100% 가까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예방센터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하루 비타민C 평균 섭취량은 92.9 밀리그램으로 1일 권장량의 98.7%에 달했다.필요한 비타민C는 일반 식생활에서 절반 나머지 절반가량은 과일 섭취로 채워졌다.보통 식사를 하면서 사과는 2/3쪽, 귤의 경우는 한 개 반만 더 먹으면 필요한 비타민을 충분히 채울 수 있다.다만, 12살에서 18살까지 10대 대부분은 권장량의 70%, 20대나 65살 이상 노인은 권장량의 80% 수준2017.03.10 12:31
페이스북이 사진과 동영상이 24시간만 공유되는 기능인 ‘메신저 데이’를 지난 9일 출시했다. 메신저 데이는 페이스북 메신저를 실행하고 ‘Add to your day’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텍스트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넣은 뒤 상대에게 보낼 수도 있다. 공유된 사진은 24시간 후에 사라진다. 페이스북은 이 기능이 IOS와 안드로이드 모두 지원된다고 밝혔다. 단 아직 한국은 적용되지 않았다. 일각에선 페이스북의 스냅챗 따라 하기가 절정에 다다랐다고 분석한다. 메신저 데이가 스냅챗을 닮았기 때문이다. 스냅챗은 휘발성 인스턴트 메시지의 강자다. 메신저 데이처럼 상대방에게 보낸 사진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I2017.03.10 10:29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신체 회복을 도와주는 의료용 재활로봇인 '로봇보조 정형용 운동장치'의 허가·심사 기준을 올해 안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이를 위해 식약처는 지난 1월부터 산업계, 학계, 시험검사기관 출신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전문가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식약처는 의료용 재활로봇이 빠른 시일내 제품화될 수 있도록 팔, 다리 등 신체 적용 부위나 사용대상자, 제품 구동형태 등을 고려한 허가·심사 기준을 마련한다. 특히, 신체 재활을 도와주는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관련 기준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의료용 재활로봇 세계시장규모는 지난해 1660억원에서 해마다 86%씩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2017.03.10 09:40
경기 광주시 보건소는 지역아동센터와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치아 멘토링-아동 치과주치의 사업'을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이번 사업은 광주시 보건소, 광주시 치과의사회, 광주시 지역아동센터 연합회의 업무협약으로 추진됐다.보건소는 치과 치료가 필요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치과주치의를 지정한다.치과의사회는 구강검진, 보건교육, 치석제거 및 불소도포 등 예방진료와 레진충전, 크라운 치료 등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구강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광주시 보건소는 한 아동 당 연 40만원까지 치료비를 지원한다고 전했다.2017.03.09 11:54
<탤런트코드>, 저자 : 대니얼 코일(Daniel Coyel) '크리에이터' 전성시대다. MCN 시장에서 ‘크리에이터(Creator)’는 동영상을 생산하는 ‘창작자’를 일컫는다. 1인 방송 제작자를 크리에이터라 칭하는 이유는 영상기획과 제작부터 팬 커뮤니티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게임, 먹방, 뷰티 등 방송 주제도 다양하다. 그들은 자신의 재능을 방송주제로 택한다. 인기 크리에이터는 ‘독특한 말투’, ‘재치있는 입담’ 등 재능과 끼를 바탕으로 연예인 못지않은 영향력을 행사한다. 특유의 진행력과 기획력을 기반으로 백만단위 구독자를 이끈다. 150만 구독자를 거느린 ‘BJ대도서관’이 대표적이다. 구독자들은 인기 크2017.03.08 19:02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중소도시 중심 기가인터넷을 확대해 지역·계층 간 네트워크 격차 해소에 나선다. 진흥원은 올해 민·관 협력을 통해 기가인터넷 커버리지가 낮은 지역의 인프라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전국 85개 시 기가인터넷 커버리지 평균은 90%를 초과했다. 반면 중소도시 일부 지역은 아직 60%의 기가인터넷 커버리지 보급률을 나타냈다. 단독주택 밀집지역, 구도심 지역, 노후아파트 등 기가인터넷 구축 및 선로개통이 어려운 지역은 정부와 민간사업자의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 기가인터넷 사업은 2009년부터 추진됐다. 초기 기가인터넷 기반 응용서비스 발굴과 기가급 네트워크 장비 R&D를 지원했다. 그 결과2017.03.08 17:38
말레이시아가 산업 자동화로 선진국 대열 진입에 한 발짝 다가서고 있다.8일 코트라 쿠알라룸푸르무역관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에서 호주, 캐나다, 스위스 등과 더불어 미국, 일본, 독일의 선두그룹을 쫓는 혁신 상위권 국가로 선정됐다. 실제로 말레이시아의 상당수 기업경영자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다른 나라에 비해 진보적인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말레이시아 정부도 제조업체에 제4차 산업혁명 또는 산업4.0 트렌드 속에서 노동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동화를 적극 추진하도록 장려하고 있다.말레이시아가 인구의 7%에 육박하는 200만이 넘는 외국인 노동자2017.03.08 12:31
네이버가 동영상 광고에선 외국계 업체들에 뒤처지고 있다. 네이버는 전체 광고 부문에선 3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리지만, 동영상 광고 시장에선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유튜브와 페이스북이 한국 동영상 광고 시장 파이를 대부분 차지하기 때문이다. 마케팅 업체 메조 미디어에 따르면, 2016년 유튜브는 동영상 광고로 1168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페이스북은 1016억 원이었다. 이는 네이버(456억 원), 다음(340억 원), 곰TV(121억 원)를 더한 금액 917억 원 보다 20% 이상 높은 수치다. 이에 네이버는 동영상 광고 삽입 기준을 늘려 유튜브와 페이스북의 선방에 대응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확대하는 전략이다. 네이버는 동2017.03.07 17:06
앞서 OTT 채널 서비스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미국 내 OTT 채널 플랫폼 네 가지를 분석했다. 결론을 내기 전에 이해해야 할 것들에 대해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현재 Pay TV를 해지하는 가입자는 케이블이나 위성 TV를 한 번도 구독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을 코드네버(Cord-nevers), TV 방송을 끊고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는 코드커터(Cord-cutters), 인기 있는 채널만 최소한으로 구성된 스키니 번들을 이용하는 사람을 코드쉐이버(Cord-shavers)로 분류한다. 코드쉐이버들로 인해 미국 내 최대 스포츠 방송 케이블인 ESPN을 비롯하여 미국의 대표적인 채널들은 가입자 이탈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ESPN의 경우 작년에만 400만 명의 가입자2017.03.07 11:36
넷플릭스가 인도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현지 기업으로 포화상태인 인도 동영상 서비스 시장을 통신사업자들과 제휴해 해법을 찾겠다는 전략이다. 넷플릭스는 작년 1월 인도시장에 들어갔다. 진출 당시 전문가들은 현지 시장 진출이 쉽지 않으리라 전망했다. 인도엔 여러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 업체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은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서다. 인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기업 ‘STAR 인디아’가 운영하는 OTT 서비스 핫스타(Hotstar)는 5만 개의 TV 콘텐츠와 주요 스포츠 경기를 무료로 방송하고 있다. 그밖에 소니픽쳐스네트워크인디아, 헝가마(Hungama), 스풀(Spuul), 박스TV(BoxTV), 디토TV(Ditto TV) 등도 인도2017.03.07 09:38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의료기기산업계 종사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3월 교육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이번 3월에는 ‘의료기기 이분 마스터 과정’, ‘의료기기 수출입 무역실무 기본과정’, ‘IEC 60601-1(3판) 규격의 이해와 설계 기본과정’ 등 총 3개 과정을 진행한다.참가를 원한다면 협회 교육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건산업교육본부 홈페이지에서 협약 신청을 한 업체의 임직원들은 무료로 교육을 수강할 수 있다.교육 과정은 교육생 1인당 45만원 상당의 고품질 교육 과정이다. 국고지원으로 업체 종사자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먼저 협약 기업 여부를 조회하고, 미등록 협약 기업은 최초 교육 신청 시2017.03.06 13:33
페이스북이 가짜뉴스(Fake-News)에 전쟁을 선포했다. 페이스북은 가짜뉴스를 선별하는 팩트체커(Fact-checkers) 기능인 ‘이의제기(Disputed)’ 시스템을 도입했다. 작년 미국 대선 당시, 페이스북 등 SNS가 네거티브용 가짜뉴스의 근원지로 뽑혔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가짜뉴스일 가능성이 높은 포스트를 클릭할 경우 ‘이의 제기된 콘텐츠(Disputed content)’라는 경고 메시지가 뜬다. 사실 검증을 진행한 매체도 동시에 연결된다. 실제로 이의제기 시스템은 실력발휘를 하고 있다. 영국 가디언지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인터넷매체 ’더뉴포트버즈(The Newport buzz)’가 지난 17일 올린 ‘아일랜드인 노예거래(The Irish Slave Trade)’라는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30.57 | ▲21.05 |
코스닥 | 804.45 | ▲0.50 |
코스피200 | 435.84 | ▲2.4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112,000 | ▼318,000 |
비트코인캐시 | 778,500 | ▼5,500 |
이더리움 | 5,241,000 | ▼5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60 | ▼370 |
리플 | 4,297 | ▼40 |
퀀텀 | 3,077 | ▼4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095,000 | ▼334,000 |
이더리움 | 5,239,000 | ▼58,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80 | ▼400 |
메탈 | 1,053 | ▼17 |
리스크 | 606 | ▼13 |
리플 | 4,296 | ▼41 |
에이다 | 1,082 | ▼12 |
스팀 | 192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990,000 | ▼460,000 |
비트코인캐시 | 778,500 | ▼5,000 |
이더리움 | 5,240,000 | ▼5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60 | ▼370 |
리플 | 4,295 | ▼38 |
퀀텀 | 3,104 | ▼1 |
이오타 | 279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