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8 (목)

더파워

김건희·건진 세력 불법 개입 의혹…KT 김영섭 사장 등 경영진 사퇴 촉구 목소리 확산

메뉴

산업

김건희·건진 세력 불법 개입 의혹…KT 김영섭 사장 등 경영진 사퇴 촉구 목소리 확산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8-27 21:19

김건희·건진 세력 불법 개입 의혹…KT 김영섭 사장 등 경영진 사퇴 촉구 목소리 확산
[더파워 이경호 기자] 윤석열 정권이 KT 사장 선출 과정에 불법·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시민단체와 노동계가 김영섭 사장의 즉각 사퇴와 특검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 이후 노동자 5명이 잇달아 숨지면서 “낙하산 체제가 초래한 사회적 참사”라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KT새노조와 민생경제연구소, 검사검사모임, 서울의소리, 서민중산층경제연대는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기업 KT에 대한 김건희·건진 세력의 불법 부당 개입을 특검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며 “윤석열 정권에 의해 외부에서 강압적으로 내려진 김영섭 사장과 낙하산 임원들은 즉각 퇴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달 1일 이미 김건희 특검에 고발장을 제출한 바 있으며,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2차 고발을 예고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은 “KT 사장 선출 과정 전반에서 낙하산 인사 특혜와 각종 비리 의혹, 이후 불거진 추문을 특검이 신속히 수사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업 문제가 아니라 공공적 통신기업의 미래와 국민경제의 신뢰와 직결된 사안”이라고 말했다.

특히 구조조정과 노동자 사망 문제는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지난해 10월 김영섭 사장 체제에서 강행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5800여 명이 희망퇴직·전출을 강요받았고, 잔류 기술직 2500명은 강제로 영업조직인 ‘토탈영업TF’에 배치됐다. 이 과정에서 현장 노동자들이 모욕적 발언과 감시, 원거리 발령 위협, 실적 압박 등에 시달리며 극심한 정신적 압박을 겪었다. 실제로 정책연구소 이음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4.5%가 고용 불안을, 62.7%가 우울증을, 88.1%가 불안장애를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미영 KT새노조 위원장은 “낙하산 체제에서 강압적 구조조정이 자행돼 노동자 5명이 자살하거나 돌연사했다”며 “이는 개인 불행이 아니라 경영 실패가 낳은 사회적 재난”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재명 대통령이 노동자 자살을 사회적 재난이라고 언급했듯이, KT는 재계 12위 기업임에도 현 체제에서 노동 현장이 무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명예퇴직 직원이 심장마비로 돌연사했고, 올해 1월과 5월에는 토탈영업TF 소속 직원 2명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 6월에는 자회사 전출 직원이, 7월에는 토탈영업TF 직원이 심정지로 숨졌다. 단체들은 “KT는 더 이상 노동자들의 생명을 담보로 한 구조조정을 중단해야 한다”며 “노동부는 즉각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차별적 인사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도 기자회견에 함께하며 힘을 보탰다. 그는 “국민기업 KT가 정권의 전리품으로 전락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특검은 불법 개입 의혹을 철저히 수사하고, 김영섭 사장은 책임지고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부는 즉시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조조정과 노동자 사망의 직접적 인과관계를 두고 KT 내부 시각은 엇갈린다. KT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KT새노조가 마치 다수 노조가 노동자의 죽음을 외면한 것처럼 허위사실을 유포해 1만1000여 명 조합원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시민단체들은 “KT는 특정 정권의 사유물이 아니라 국민 모두를 위한 공공적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특검은 김건희·윤석열·건진 세력의 불법 개입 의혹을 낱낱이 규명하고, 노동부는 현장의 죽음을 막기 위한 근본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7.16 0.00
코스닥 801.72 0.00
코스피200 430.31 0.0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500,000 ▼389,000
비트코인캐시 769,000 ▼6,000
이더리움 6,291,000 ▼47,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230
리플 4,148 ▼32
퀀텀 4,157 ▲6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549,000 ▼413,000
이더리움 6,290,000 ▼52,000
이더리움클래식 29,990 ▼260
메탈 1,011 ▲1
리스크 537 ▲2
리플 4,150 ▼32
에이다 1,190 ▼10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500,000 ▼440,000
비트코인캐시 770,500 ▼3,500
이더리움 6,290,000 ▼5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20 ▼290
리플 4,149 ▼31
퀀텀 4,160 ▲77
이오타 274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