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40% 축소·임금 20% 삭감 등 ‘서바이벌 플랜’ 가동… 내수시장 수익성 강화 방침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박현우 기자] 르노삼성이 8년만에 전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21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2019년 3월 이후 입사자를 제외한 모든 정규직을 대상으로 2월 26일까지 희망퇴직을 신청받는다. 코로나19 이후 완성차업계에서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것은 르노삼성이 처음이다.
희망퇴직자에게는 법정 퇴직금 외 근속연수에 따라 사무직의 경우 6~24개월치, 생산·서비스 직군의 경우 15~36개월치 급여를 특별 위로금으로 지급한다. 또 자녀 학자금으로 1인당 1000만원, 신종단체상해 보험, 차량할인 혜택, 장기근속 휴가비 지원, 전직지원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르노삼성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하는 것은 지난 2012년 8월 이후 8년만이다. 당시 르노삼성은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2011년 2150억원, 2012년 1721억원의 적자 상황에서 2012년 ‘리바이벌 플랜’을 시행해 2013년 영업이익이 445억원 흑자로 전환했다.
올해 들어 르노삼성은 연초부터 비상경영에 돌입하며 전체 임원의 40%를 줄이고 남은 임원에 대한 임금 20%를 삭감하는 등 ‘서바이벌 플랜’을 가동하고 있다.
이번 서바이벌 플랜에서는 내수 시장에서 수익성을 더 강화하고 XM3 수출 차량의 원가 경쟁력 강화와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부산 공장의 생산 경쟁력을 입증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르노삼성의 지난해 내수와 수출을 더한 전체 판매 대수와 생산 물량은 각각 11만6166대와 11만2171대로 지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내수 시장의 심화한 경쟁 구도 속에서 부진을 겪는 가운데 지속적인 고정비 증가가 맞물리며 내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해서는 대내외 경영 환경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르노삼성차 조직의 구조 개선과 함께 고정비, 변동비 축소와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