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제16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청년들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년들이 코로나19 충격에 가장 많이 노출돼 있다"며 "정부는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공감하고 함께 나누며 기존의 대책을 넘어서는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IMF 당시 청년들이 겪은 어려움을 언급하며 "지금의 청년들도 그때보다 못지않은 취업난과 불투명한 미래로 '코로나 세대'로 불리며 암울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그 어려움을 빨리 해소해주지 못하면 이른바 '락다운(Lockdown)' 세대가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청년 대책은) 우리 사회가 가장 우선순위를 둬야 할 중차대한 과제"라며 "청년들에게 즉각적이고 대대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코로나19의 유산이 수십년간 우리와 함께할 거라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경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고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각별히 신경을 써달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자리로, 청년 일자리를 하나라도 더 늘릴 수 있도록 정부가 마중물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청년들이 창의적인 일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마련, 질 좋은 일자리를 위한 직업훈련 대폭 확대 등을 함께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주거 안정 또한 가장 절박한 민생 문제"라며 "청년과 신혼부부 무주택자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가 보다 넓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이 청년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주문한 것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4·7 서울·부산시장 재보선에서 드러난 2030 청년층의 민심을 의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는 천신만고 끝에 코로나19의 어두운 터널을 벗어나 빛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며 "다만 회복의 온기를 체감하지 못하는 국민이 아직 많은 것이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국민의 삶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이자 든든한 버팀목이 돼야 한다"며 "지금까지 해온 이상으로 적극적 재정 지출을 통해 취약계층과 저소득층 지원, 고용 유지와 일자리 창출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달라"고 거듭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