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25 (목)

더파워

건설현장 5년간 1072명 사망…절반 이상 ‘떨어짐’ 사고

메뉴

정치사회

건설현장 5년간 1072명 사망…절반 이상 ‘떨어짐’ 사고

이우영 기자

기사입력 : 2025-09-25 14:46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 없음/사진=연합뉴스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 없음/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우영 기자] 최근 5년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로 3만30명이 사상(死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사고의 절반 이상이 추락(떨어짐) 사고로, 건설현장 안전관리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고양시 을)이 25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7월까지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총 1,031건으로, 1,072명이 목숨을 잃었다.

유형별로는 ‘떨어짐’ 사고가 556건(53.9%)으로 절반을 넘었으며, 이는 다른 모든 유형을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다. 이어 ▲깔림 180건(17.5%) ▲물체에 맞음 116건(11.3%) ▲끼임 61건(5.9%) 순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부상사고는 28,456건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유형은 ‘넘어짐’으로 6,937건(24.3%) 발생해 총 6,955명이 다쳤다. 추락사고도 4,073건(14.3%)에 달했으며, 물체에 맞음(3,745건, 13.1%), 끼임(2,975건, 10.4%) 사고도 빈번했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기존 통계에 무너짐, 온열질환, 폭발·파열 유형을 추가 관리하기 시작했다. 특히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상사고는 올해에만 13건 발생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과 폭염 장기화 속에서 건설노동자 온열질환에 대한 대책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준호 의원은 “극한 기상에 대응하는 새로운 온열질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윤석열 정권 기간 건설노동자 사상사고가 증가 추세였다. 건설사들이 성과 경쟁보다 현장 안전을 최우선하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지 않는다면 어떠한 대책도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정감사를 통해 건설사들의 현장 안전관리 대책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우영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71.11 ▼1.03
코스닥 852.48 ▼8.46
코스피200 480.63 ▲0.2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04,000 ▲128,000
비트코인캐시 786,500 ▲1,500
이더리움 5,76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6,290 ▲50
리플 4,070 ▼5
퀀텀 3,04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87,000 ▲138,000
이더리움 5,769,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6,280 ▲60
메탈 919 0
리스크 445 ▼1
리플 4,073 ▼5
에이다 1,133 ▼2
스팀 17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5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784,000 ▲1,000
이더리움 5,77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6,290 ▲50
리플 4,067 ▼6
퀀텀 3,020 ▼11
이오타 23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