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본사와 가맹점 간 매출 격차가 빠르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사들은 외형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가맹점 점주들의 매출은 감소세를 보이며 구조적 불균형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10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 시스템과 전자공시시스템 자료를 토대로 커피·치킨·피자·편의점·제과제빵·외식·화장품 등 7개 업종의 가맹본부와 가맹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 115개 본사의 매출은 2022년 43조1565억원에서 지난해 47조7963억원으로 10.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1조1697억원에서 1조2642억원으로 8.1% 늘었다. 반면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은 연 3억2723만원에서 3억248만원으로 7.6% 줄어들었다.
업종별로 보면 불균형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피자 업종이었다. 7개 피자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은 4189억원에서 1조1193억원으로 66.5% 급증했지만, 같은 기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1.9% 감소했다. 이 기간 가맹점 수는 1757개에서 1895개로 7.9% 증가해 점포당 매출 감소 현상이 뚜렷했다.
외식 업종도 54개 본사의 매출이 2조6801억원에서 3조4751억원으로 29.7% 증가하는 동안,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6.4% 줄었다. 제과제빵 업종 역시 본사 매출은 5.0% 증가했지만 가맹점 매출은 18.7% 감소했다.
반대로 본사와 가맹점이 동반 성장한 업종은 커피·음료뿐이었다. 17개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의 매출은 2조9563억원에서 3조9447억원으로 33.4% 증가했고,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도 14.1% 늘었다. 가맹점 수도 9661개에서 1만1513개로 19.2% 증가하며 업종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가맹점이 가장 많은 업종은 편의점으로, 지난해 기준 5만5331개였다. 이 중 CU가 1만8458개로 가장 많았다.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이 가장 높은 곳은 테이스티코리아가 운영하는 중식당 매란방으로, 지난해 기준 11억4680만원을 기록했다.
리더스인덱스는 “외식, 치킨, 피자, 편의점 업종에서 가맹점 수는 늘어나지만 점포당 매출액은 줄어드는 전형적인 시장 포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최근 3년간 프랜차이즈 업계의 성장 불균형이 더욱 심화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