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우영 기자] 국가유공자들이 지방에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의료서비스에서 심각한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방 보훈병원의 전공의 부족이 심각해 사실상 진료 기능이 마비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헌승 의원(국민의힘, 부산진구을)이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월 전공의 파업 직전 전국 보훈병원 전공의는 139명이었으나 2025년 9월 말 현재 103명으로 36명 줄었다. 올해 하반기 모집 정원 151명과 비교하면 충원율은 68%에 그쳤다.
지역별 충원율을 보면 불균형은 더욱 뚜렷하다. 서울 중앙보훈병원은 하반기 모집 정원 90명 중 85명을 충원해 94%의 충원율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 보훈병원은 평균 충원율이 23%에 불과했다. 부산(36%), 광주(43%), 대구(11%), 대전(0%) 등 주요 도시 보훈병원에서 전공의 공백이 이어졌다. 특히 대전보훈병원은 전공의가 단 한 명도 없으며, 대구보훈병원은 인턴 1명만 남아 사실상 레지던트 공백 상태에 놓였다.
세부 진료과 현황을 보면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더 두드러진다. 중앙보훈병원은 내과·재활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정형외과 등 15개 진료과 중 13개 과에 전공의가 배치돼 있다. 반면 광주는 내과·재활의학과·가정의학과 3개 과에 불과하며, 부산은 내과와 가정의학과 2개 과만 전공의가 배치돼 있다. 대전과 대구는 레지던트가 전혀 없어 교육병원 기능이 사실상 멈춘 상태다.
이헌승 의원은 “정부가 전공의 확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지방 보훈병원에는 의사가 오지 않는다”며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이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명백한 국가적 불평등”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문제는 단순한 인력 부족이 아니라 국가유공자의 치료받을 권리와 국가의 보훈 책임이 지역에 따라 차별받는 구조적 문제”라며 “보훈부는 지방 보훈병원의 의료 공백을 즉각 해소할 실질적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