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우영 기자] 평택 한국니토옵티칼에서 백혈병으로 산업재해 인정을 받은 직원이 발생했지만, 회사가 재해 원인과 예방계획을 단 한 줄로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실한 산재조사표 작성이 드러나면서 회사의 산재 예방 의지가 도마에 올랐다.
29일 김 의원(더불어민주당·김포시갑)이 평택고용노동지청으로부터 입수한 ‘한국니토옵티칼 산업재해조사표’에 따르면, 재해발생원인은 “근로복지공단 인정에 따라”, 재해발생예방계획은 “공정 전반에 대해 점검 중”이라고만 적혀 있었다. 사업장에서 사망자나 장기 요양이 필요한 질병이 발생하면 사업주는 재해 원인과 재발방지 계획을 포함한 산재조사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김주영 의원실 제공
이번에 산재로 인정된 A씨는 지난 1월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진단받았으며, 2002년 입사 후 23년간 편광필름 절단 및 용해공정 업무를 수행해왔다. 근로복지공단은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물질에 반복 노출된 사실을 확인하고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니토옵티칼은 보험가입자 의견서에서 “직접 노출이 없었다”고 주장하며 재해 사실을 부정했다. 이후에도 재해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거나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책임을 근로복지공단으로 돌린 것으로 확인됐다. 회사는 지난 8월 21일 산재조사표를 제출했지만, 당시 노동청의 보건진단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
김주영 의원실이 확보한 노동청 보건관리 실태조사 결과(6월25일~8월14일)에 따르면, 용해공정 등에서 국소배기장치 미흡 등 10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돼 니토옵티칼은 9월 10일 보건명령진단 처분을 받았다. 또한 2000년 이후 암 진단을 받은 전·현직 직원이 20명에 달했으며, 조혈기계암 환자도 4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의원은 “니토옵티칼이 예방계획을 단 한 줄로 보고하고 책임을 제3자에 전가했다”며 “이배원 대표의 안일한 산재 인식이 드러난 만큼, 백혈병 산재 은폐 의혹에 대해 철저히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니토옵티칼은 일본 니토덴코의 100% 자회사로, 2022년 화재로 폐업한 구미 한국옵티칼하이테크의 쌍둥이 회사다. 현재 해고노동자 7명이 고용승계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 중 한 명인 박정혜씨는 600일 이상 고공농성을 이어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