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SK그룹이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국내 제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가속화한다. SK그룹은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기반으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아시아 최초로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활용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현하는 사례로, SK는 이를 그룹 계열사뿐 아니라 공공기관·스타트업 등 외부에도 개방해 국내 제조업 생태계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와 만나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Physical AI Startup Alliance)’ 협력 및 반도체·AI 생태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옴니버스는 실제 제조공정을 3차원(3D) 가상 공간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기반 플랫폼으로, 생산 효율화와 비용 절감, 불량률 개선 등을 지원한다. SK는 SK하이닉스가 도입하는 엔비디아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GPU 2000여 장을 활용해 이천캠퍼스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한다. 운영은 SK텔레콤이 맡는다.
SK는 이를 통해 국내 제조기업과 스타트업이 해외 데이터센터에 의존하지 않고 고성능 AI 인프라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보안과 처리 효율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엔비디아는 GPU 공급 외에도 소프트웨어 최적화, AI 모델 개발 및 시뮬레이션 튜닝 등 기술 협력을 수행한다.
양측은 한국·베트남 공동 비즈니스 추진과 더불어 APAC 시장 확장도 함께 추진하며, IMM인베스트먼트·한국투자파트너스·SBVA 등 벤처캐피털과 협력해 제조 AI 스타트업 육성에도 나선다.
이날 SK텔레콤은 엔비디아, 삼성전자, ETRI 등과 ‘AI 네트워크(AI-RAN)’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AI-RAN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대용량 AI 데이터를 초고속·저지연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실증망 구축과 R&D를 지원할 예정이다.
최태원 회장은 “SK그룹은 AI를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할 AI 팩토리를 통해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산업을 주도할 인프라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AI 시대의 새로운 제조공장인 ‘AI 팩토리’가 한국에서 현실화되고 있다”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 메모리 파트너로, 한국이 글로벌 AI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