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11:07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대웅제약은 19일 태국 파트너사 몬타나 마케팅(Montana Marketing)과 총 738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대웅제약 태국 법인과 몬타나 마케팅 간 5년간 진행되는 것으로, 2020년 첫 계약 대비 약 3배 이상 확대됐다. 태국은 아시아에서 중국, 일본, 한국에 이어 네 번째로 큰 미용성형 시장이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의 미용성형 시장 규모는 약 14억 6,000만 달러(약 2조 원)이며, 2030년까지 약 31억 달러(약 4조 2,000억 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 연...2025.06.18 11:12
동아제약은 폼 타입 탈모치료제 카필러스 폼에어로솔을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탈모치료 환자는 2018년 22만 5000명에서 2022년 24만 8000명으로 연평균 2.5%씩 증가하고 있다. 탈모는 외부환경에 따른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호르몬 영향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다. 최근에는 젊은 층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연령에 구별없이 탈모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필러스 폼에어로솔은 미녹시딜 성분의 바르는 탈모치료제다. 주성분인 미녹시딜은 미국 FDA 승인을 받은 탈모치료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두피 내 말초혈관을 확장하고 피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모발을 새로 나게 하는 원리로 탈모 치료에 도...2025.06.18 11:07
동아에스티는 지난 17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헤브론의료원(HebronMedicalCenter)과 원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동아에스티 정재훈 사장, 하이카디 제조사 메쥬 전데릭 본부장, 헤브론의료원 진은경 상임이사, 배기안 진료원장 등이 참석해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으로 의료진 및 인프라가 부족한 캄보디아에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의료진의 진료 환경 개선 및 환자 의료 접근성 향상, 질병의 조기 발견을 통한 환자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아에스티는 2018년부터 캄보디아에 전문의약품을 기부하며 현지 의료 환...2025.06.18 11:00
오스템파마가 자라나는 아이들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적 토대 구축에 나섰다. 이를 위해 오스템파마는 지난 12일 서울 강서구 오스템임플란트 트윈타워 사옥에서 에듀러블, 스마힐과 함께 3자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자녀의 구강 건강 정보 부족으로 불안을 느끼는 학부모들의 고민을 해소하고 아이들이 스스로 올바른 치아 관리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적 지원 체계를 만드는 데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세 회사는 각각의 사업 영역에서 지닌 전문성을 결합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구강의약품 전문기업 오스템파마는 임상 데이터와 제품 개발 경험...2025.06.18 10:54
대웅제약이 의료 접근성이 낮은 도서 지역 주민을 위한 건강검진에 나서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활용한 ESG 경영 실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과 함께 지난 5일 경기도 안산시 인근 육도에서 건강검진을 지원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검진은 ‘고려대학교안산병원 지역사회 연계형 의료복지 사회공헌사업’의 일환으로, 의료기관과 기업이 협업해 지역 취약계층을 위한 지속가능한 의료복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검진이 이뤄진 육도는 탄도항에서 배로 약 1시간 30분이 걸리는 의료 사각지대로, 검진은 주민 11명을 대상으로 1대1 맞춤형으로 진행됐다. 기본 건강검진은 물론 전문 건강 상담까지 제공...2025.06.17 13:36
경희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 노관태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AI 바우처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노관태 교수팀은 국내 AI 솔루션 기업인 이마고웍스(대표 김영준)와 ‘딥러닝 기반 보철물 디자인 자동화 솔루션의 임상 활용’을 목표로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틀니)와 전악 임플란트 보철물 디자인 과정을 자동화하는 AI CAD 솔루션을 개발한다. 수행기간은 2025년 5월부터 11월까지, 총 7개월이며 사업비는 3.2억 원 규모다. 노관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상현장의 실제 데이터와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하여 국내 최초로 무치악 보철물 디자인 자동화 솔루션을 실현하는 데 의의가 있다”...2025.06.17 13:33
시지바이오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으로부터 신의료기술로 승인받은 자동화 세포치료 플랫폼 ‘셀유닛(Cellunit)’ 시스템을 활용해,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이하 SVF, Stromal Vascular Fraction)을 관절강 내에 주사하는 치료가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에 도입돼 무릎 골관절염 환자 시술에 본격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셀유닛은 환자의 피하지방 조직에서 유래한 SVF를 자동으로 추출해 치료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SVF는 지방 조직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포들의 집합체로, 염증 조절과 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줄기세포, 면역세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셀유닛은 초기에 미용성형 분야에서 조직 재생을 위한...2025.06.16 10:56
서울성모병원이 다발골수종 환자의 장기 치료 성적을 공개하며 국내 혈액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국내 최초로 혈액병원을 설립한 서울성모병원은 다발골수종센터가 지난 12년간 치료한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중앙 생존기간(Median Overall Survival, OS)이 80.5개월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난치성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의 치료 성적을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분석한 국내 첫 사례다.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혈액암으로, 매년 국내에서 약 2,000명의 환자가 새롭게 진단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다발골수종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은 치료 시점에 따라 33.6개월(2009~2012년), 44.6...2025.06.16 10:55
6월 21일 ‘세계 루게릭병의 날(World ALS Day)’을 맞아 희귀난치성 질환인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이른바 ‘루게릭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손상돼 근육이 위축되고 마비되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국내에서도 매년 300~40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루게릭병은 뇌에서 척수로 신호를 전달하는 상부 운동신경과 척수에서 근육으로 신호를 보내는 하부 운동신경을 모두 손상시킨다. 이로 인해 발음, 삼킴, 호흡 등의 기능이 차례로 저하되며, 진행 속도에 따라 대부분의 일상 기능을 잃게 된다. 오성일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의식과 감각은 유지되지만, 손발의 힘이...2025.06.16 09:21
허벅지에만 통증이 느껴지고 엉덩이는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엉덩이 근육 기능 저하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엉덩이에 힘을 주는 방법을 몸이 ‘잊어버리는’ 현상, 이른바 ‘엉덩이 기억상실증(Gluteal Amnesia)’이 원인일 수 있다. 의학적으로는 ‘대둔근·햄스트링 조절 장애’로 불리는 이 증상은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습관과 활동량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엉덩이 근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허벅지, 허리 등 주변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이로 인해 통증과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재원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엉덩이 근육은 척추 안정성과 신체 균형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2025.06.16 09:20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치과 이효정 교수팀이 골다공증 치료제의 투여 시점과 치아 발치 간의 간격이 길수록 약물 관련 턱뼈 괴사(MRONJ)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치료에 쓰이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중단 기간과 턱뼈 괴사 발생률 간에도 큰 차이가 있어, 외과적 치과 처치 전 약물 종류에 따른 중단 전략도 중요한 부분으로 확인됐다. 정상적인 뼈는 낡거나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는 ‘골 흡수’와 새로운 뼈를 만드는 ‘골 형성’이 균형을 이루며 건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골다공증 환자의 뼈는 골 흡수의 속도를 골 형성이 따라가지 못해 점차 가늘어지고 약해진다. 이러한 골다공증은 골 흡수를 억제...2025.06.16 09:18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이 차세대 RNA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하며 난치성 신경계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전망이다.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김영광 교수(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팀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과제로 정식 선정돼, RNA 유전자 가위 기반 정밀 치료기술 개발에 나섰다. 연구 기간은 향후 5년이며, 총 28억 원의 정부 지원금 중 18억 6000만 원이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을 통해 투입된다. 이번 연구는 DNA가 아닌 RNA를 표적으로 삼아 유전정보를 정밀하게 편집할 수 있는 ‘RNA 유전자 가위’ 기술을 개발하...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44,000 | ▲523,000 |
비트코인캐시 | 671,000 | ▲6,000 |
이더리움 | 3,485,000 | ▲4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40 | ▲290 |
리플 | 3,107 | ▲5 |
퀀텀 | 2,690 | ▲2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62,000 | ▲478,000 |
이더리움 | 3,481,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40 | ▲290 |
메탈 | 924 | ▲7 |
리스크 | 517 | ▲3 |
리플 | 3,107 | ▲6 |
에이다 | 798 | ▲7 |
스팀 | 17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70,000 | ▲570,000 |
비트코인캐시 | 670,500 | ▲4,000 |
이더리움 | 3,485,000 | ▲4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20 | ▲280 |
리플 | 3,108 | ▲5 |
퀀텀 | 2,677 | ▲22 |
이오타 | 21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