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범정부 TF 구성해 화이자와 백신 공급 논의...현재 우리나라 코로나19 백신 총 1억9200만회 확보
24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가운데)이 브리핑을 통해 화이자사로부터 코로나 백신 4000만회분을 추가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박현우 기자] 정부가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사(社)와 코로나19 백신 4000만회분(2000만명분)을 추가 구매 계약 체결했다고 밝혔다.
24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올해 화이자 백신은 당초 2600만회분과 추가 계약한 4000만회분 등 총 6600만회분이 공급되며 이로 인해 화이자 백신으로 총 3300만명분이 확보됐다”고 밝혔다.
이어 “화이자 백신은 현재까지 175만회분이 공급됐으며 이를 포함해 오는 6월 말까지 700만회분이 공급되고 3분기부터 5900만회분이 순차적으로 공급될 계획”이라면서 “이번에 추가 구매 계약이 체결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보걱복지부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은 지난 3월 24일 공급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매주 정기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일 코로나19 백신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해 범정부 백신도입 TF를 구성한 이후 지난 9일과 23일 화이자사와의 영상회의를 통해 백신 공급을 논의하면서 지속적인 협상을 추진해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우리나라가 확보한 코로나19 백신은 총 1억9200만회분(9900만명분)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9배, 집단면역 형성을 위한 접종 목표 3600만명의 2.75배 가량 접종이 가능한 물량이다.
당초 올해 계약된 백신은 총 7900만 명분으로 집단면역 확보에 충분한 물량이지만 추가 구매로 집단면역 달성 시기를 앞당길 수 있게 됐다.
또 국제적인 백신 수급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변이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3차 접종(일명 부스터 샷) 및 18세 미만 접종대상 연령 확대 등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 수요 발생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6월말까지 도입이 확정된 1809만회분으로 접종 목표인 1200만명을 대상으로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예방접종을 진행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은 이미 387만회분의 백신은 공급됐으며 2분기까지 총 1809만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다.
정부는 1809만회분이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백신 공급상황을 전주기적으로 면밀하게 점검하는 한편 노바백스·모더나·얀센 백신의 일부를 상반기 내 추가 도입해 최대 2080만 회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범정부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7월부터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외에도 노바백스·모더나·얀센 백신이 본격 공급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9월말까지 총 1억만회분의 백신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9월말까지 협의된 물량은 약 8000만회분이며 상반기 공급분과 합산하면 9월말까지 약 1억회분의 백신이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약 5000만명 이상의 국민에게 예방접종을 할 수 있는 물량으로 원활한 공급이 이뤄진다면공급이 9월말까지의 이 물량만으로 18세 이상 국민 4400만명 전체를 접종할 수 있다.
권 장관은 “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국민 5200만명의 70%인 약 3600만명에 대한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추가 구매 계약을 통해 11월 집단면역 형성 목표를 달성하고도 충분히 남는 물량의 백신을 확보함은 물론 조기 달성도 가능한 여건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올 4분기에 공급될 약 9000만회분의 백신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여유있게 대응하고 필요시 추가접종에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또 향후 코로나19 백신의 허가 및 국가출하승인, 원·부자재 수급 등 종합적 지원을 통해 백신 수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적극 대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먼저 정부는 6월 말까지 1200만 명 접종, 11월 집단면역 달성을 위해 범정부적인 역량을 총동원하기로 결정했다.
권 장관은 “정부는 국민의 소중한 일상이 회복될 수 있도록 방역과 백신 도입, 예방접종에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들께서도 백신 확보와 예방접종에 대한 정부의 계획과 안내를 믿고 적극 협조해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노바백스, 모더나, 얀센 백신의 구체적 공급일정은 제약사별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비공개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