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km 밖에서 발생한 화재 2-3분내 정확히 포착... 골든타임 확보로 대형 산불 예방 기대
식장산 정상쉼터 시연회 현장
[더파워 최성민 기자] 카이투스테크놀로지(이하 카이투스)와 KT는 9월 24일 대전 식장산 정상 쉼터에서 산림청 및 산림업계 주요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AI 산불 조기탐지 시스템' 시연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카이투스가 선보인 '산불 조기탐지시스템'은 산불감시 전용 고성능 카메라(모델명: IQ FireWatch)와 연기 냄새와 산불 미세입자를 탐지하는 N5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시연 당일, 국내 산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나무가 연소하자 발생한 연기를 산불감시 카메라는 약 10km 떨어진 지점에서 불과 2분 만에 포착했다. 동시에 N5 센서 역시 약 2분 30초 만에 첫 감지를 시작으로 1km 거리까지 설치한 5개의 센서가 순차적으로 3분 내 화재 경보를 전송했다.
산불 골든타임은 화재 발생 후 신고 접수까지 30분, 헬기 출동 후 50분 내에 현장 진화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Q FireWatch 카메라와 N5 센서가 단 2-3분 내에 화재를 정확히 포착한 것은 골든타임 확보 측면에서 의미가 매우 크며, 이는 산불이 대형 산불로 번지기 전에 조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한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탐지 시스템
IQ FireWatch는 모노크롬(주간), 근적외선(NIR, 야간), RGB(보조), 열화상(TIR, 옵션) 카메라로 구성된 멀티스펙트럴 시스템이다. 최대 50km까지 연기를 탐지할 수 있으며, 악천후 및 야간에도 근적외선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20km의 가시거리를 확보한다.
N5 센서는 최대 3~4km 범위 내에서 가스, 미세입자, 열 신호를 동시에 감지하는 멀티센싱 방식으로 작동한다. 특히 카메라가 탐지하기 어려운 계곡 등 사각지역에서도 연기 냄새와 산불 기원 미세입자를 감지하여 산불을 조기에 탐지한다. 두 장비의 결합으로 환경이 열악한 산악지역에서도 사각지대 없이 효과적인 산불 탐지가 가능하다. N5를 여러 취약 지점에 배치하면 화재 확산 방향과 속도를 예측할 수 있어 진화 동선 설계와 안전관리에 즉각 반영 가능하다.
△AI 기술로 오탐 최소화
이날 참석자들은 장비의 탐지 성능과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특히 굴뚝 연기, 담배 연기, 쓰레기 소각 연기와 실제 산불을 어떻게 구분해 오탐을 최소화하는지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카이투스 시스템의 핵심은 AI 기술이다. IQ FireWatch 카메라는 AI 영상분석을 통해 산불과 연기, 구름, 안개 등을 구분해 오탐을 최소화하며, 원거리 산불을 감지하는 동시에 발화 지점까지 특정할 수 있다. N5 센서는 AI 기반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화재 발생 시 연기로부터 발생되는 독특한 유해 화학 냄새와 산불 미세입자를 탐지해 산불 조기탐지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24시간 휴먼 검증 체계와 SMS, 이메일, API 등 다양한 경보 채널을 통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글로벌 레퍼런스와 검증된 기술력
IQ FireWatch는 지난 20년 동안 나파밸리를 포함한 전 세계 4개 대륙 주요지역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N5 센서는 미국 국토안보부(DHS) 과학기술국(S&T)과 미국 소방청(USFA)이 공동 개발한 기술이다. 2023년 1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하와이 마우이 화재 이후, 2024년 하와이 전역에 배치되어 현재 산불 감시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다.
△토탈 솔루션으로 진화
카이투스 김원희 대표는 "올 하반기 400kg급 페이로드를 탑재한 산불 진화 드론을 도입해 탐지 시스템과 연계할 계획"이라며 "화재 발생 수 분 내 탐지부터 관제 전파, 드론 출동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토탈 솔루션을 구축해 골든타임 확보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