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청년층(20~29세)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최근 10년간 연평균 1.9%로, 전 세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라고 밝혔다. 특히 실질소득 증가세는 2014~2019년 연평균 2.6%에서 2019~2024년 1.1%로 크게 둔화됐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부진의 원인을 명목소득과 체감물가 측면에서 분석했다. 최근 10년간 청년층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고, 명목 경상소득 증가율 역시 4.0%로 최저치였다.
고용률은 57.4%에서 61.0%로 높아지고 실업률은 9.0%에서 5.8%로 낮아지며 ‘양적 개선’은 있었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같은 기간 32.0%에서 43.1%로 11.1%포인트 늘어나 ‘질적 개선’은 부족했다.
체감물가 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최근 5년간 음식·숙박 물가가 연평균 4.0% 상승했으며, 이는 청년층 소비지출 항목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음식·숙박 부문의 체감물가 상승 기여율은 30.9%로 가장 높았다.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2014~2019년 3.8%에서 2019~2024년 4.0%로 소폭 올랐음에도, 체감물가 상승률이 같은 기간 1.1%에서 2.8%로 뛰며 실질소득 증가 효과를 상쇄했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노동시장의 질적 제고와 외식물가 안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노동시장 정책 지출 규모는 GDP 대비 1.02%로 OECD 평균(0.98%)을 상회했지만, 여전히 직접 일자리 창출 등 양적 개선에 치중돼 있어 고용훈련 확대와 기업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외식업체의 식재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할당관세와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외식물가 안정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