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기관 참여… 중소기업 피해 대응 강화
예방·복구·재발방지 통합 지원 체계 구축
헬프데스크·24시간 관제 등 단계별 보호 추진
부산시청 전경. (사진=이강원 기자)
[더파워 부·울·경 취재본부 이강원 기자] 부산시가 지역기업 해킹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기업 사이버보안 유관기관 협의체’를 28일 공식 출범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협의체에는 부산시를 비롯해 국가정보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경찰청, 부산전파관리소, 부산경제진흥원 등 10개 기관이 참여했다. 민간에서는 파나시아·해양드론기술·리얼시큐 등이 동참하며 공공-기업 간 협력 기반도 마련됐다.
협의체는 최근 증가하는 중소기업 대상 해킹 공격을 ‘지역경제 리스크’로 규정하고 기관 간 정보 공유, 신속 대응 체계,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한다. 부산은 해킹 신고 기업의 88%가 중소기업이며, 신고 건수도 2022년 45건→2025년 83건으로 급증해 선제 대응 필요성이 커진 상황이다.
부산시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예방·복구·재발 방지까지 전 단계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전국 최초로 헬프데스크 운영, 취약점 진단 컨설팅, 연 2회 모의훈련, 중소기업 대상 24시간 보안관제 지원 등을 단계별 확대할 방침이다. 지원 기업은 2025년 70곳에서 2026년 350곳으로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