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2 08:50
[더파워=최병수 기자]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6.0%, 7월 6.3%로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오른 뒤 8월 5.7%, 9월 5.6%로 둔화하다가 3개월 만에 다시 오름세를 보였다.품목별로 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가 23.1% 오르면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석유류가 10.7%, 가공식품은 9.5% 각각 오르면서 공업제품이 6.3%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까지 오른 뒤 7월 35.1%,2022.10.31 09:41
[더파워=최병수 기자]9월 생산, 소비, 투자가 일제히 줄어 두 달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산업생산지수는 117로 전월대비 0.6% 감소했다. 광공업(-1.8%), 서비스업(-0.3%) 모두 감소했다.4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광공업 생산이 부진했고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 설비투자 등 내수도 조정을 받으면서 생산과 지출이 모두 감소했다”며 “경기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이 다소 약화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을 비롯한 광공업생산이 1.8% 감소했는데 9월 초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주요 제철소 등 공장 가동이 중단된 영향이2022.10.24 10:56
[더파워=최병수 기자]한국의 반도체 산업은 Chip4에 포함되지만 글로벌 시총 100대 반도체 기업 중 한국기업은 3개뿐이고 시총 순위와 수익성은 최근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캐피털 IQ에 기반해 시가총액 상위 100대 반도체기업의 경영지표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100위 안에 3곳(삼성전자, SK하이닉스, SK 스퀘어)을 포함시키는 데 그쳤다고 24일 밝혔다.중국(42곳), 미국(28곳), 대만(10곳), 일본(7곳)과 비교하면 크게 뒤처진 수치다.전경련에 따르면 2022년1월~9월 기준 반도체 시총 100대 기업 중 중국기업은 42개사로 Chip4 기업을 다 합친 48개사의 턱밑까지 추격한 것으로 분석됐다.2022.10.21 09:09
[더파워=최병수 기자]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한달만에 다시 상승했다. 유가하락에도 불구하고 도시가스 가격이 오르고 태풍으로 생산 차질이 발생한 가운데 환율도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생산자물가는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물가 상승 폭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8월보다 0.2% 오른 120.16(2015=100)으로 집계됐다.전달 1년10개월만에 하락 전환했지만 한달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도시가스(산업용) 요금 인상으로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2.5%)이 오르고, 제1차금속제품(1.0%) 등을 중심으로 공산품(0.1%)도 상승한 영향2022.10.20 09:54
[더파워=최병수 기자]금융감독원이 개인투자자에게 특정 종목 매매를 부추기는 '주식 리딩방'의 일부 혐의자에 대한 불공정거래 혐의를 포착하고 최근 검찰에 패스트트랙(신속 수사전환) 사건으로 이첩한 것으로 20일 확인됐다. 최근 주식 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개인 투자자에게 특정 종목 매매를 유도하는 ‘주식 리딩방’이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금감원은 최근 주식 리딩방 운영자가 외부 세력과 짜고 허위 사실을 유포한 뒤 리딩방 회원에게 물량을 떠넘기며 부당 이득을 편취한 혐의를 조사하면서 일부 혐의자와 의심 종목 등에 대해 검찰에 관련 사실을 패스트트랙으로 이첩했다.금융당국 관계자는 "주식 리2022.10.13 12:57
[더파워=최병수 기자]올해 1~8월 정부의 총수입(세수)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1조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로나19 위기 대응 사업 등의 영향으로 총지출이 62조 원 늘면서 실질적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올해 1~8월 85조 원 적자를 기록했다. 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올해 1∼8월 총수입은 438조6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41조1천억원 증가했다.이 중 국세 수입이 289조3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41조원 늘었다.기업 실적이 개선되고 소비가 늘면서 법인세(27조7천억원), 소득세(11조9천억원), 부가가치세(4조2천억원) 등이 증가한 영향이다.세외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2022.10.13 12:52
[더파워=최병수 기자]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석 달 만에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것과 관련해 "금통위 판단을 믿는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현지시간 12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 DC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추 부총리는 "한국은행과 시각차가 전혀 없다"며 "취약 부분은 살펴야 한다. 그러나 금리를 올리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이어 "지금은 물가 안정이 정책 최우선이고, 이것이 금리 정책으로 나타나는 것"이라며 "금리는 원/달러 환율 안정과도 관련이 있다. 환율이 많이 튀는2022.10.12 15:19
[더파워=최병수 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또다시 12일 기준금리를 연 2.5%에서 연 3.0%로, 0.5%포인트 인상했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고, 4·5·7·8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인상도 한은 역사상 역대 최초 기록이다.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0.50%포인트 인상에 대해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환율 상승으로 물가의 추가 상승 압력과 외환 부문 리스크(위험)가 증대되는 만큼 통화정책 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한은이 7월 이후 석 달 만에 빅스텝 초강수를 둔 건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5%대를 크게 웃돌고,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0.72022.10.11 10:55
[더파워=최병수 기자]이달 10일까지 무역적자가 지속되면서 올해 누적 무역적자가 300억달러를 넘어섰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17억97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2% 줄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5.5일)보다 0.5일 적었다. 일평균 수출액으로도 12.2% 감소했다.이달 전체 수출액이 줄어들 경우 2020년 10월 이후 2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하게 된다.주요 수출 품목에서 승용차(5.4%), 선박(76.4%) 등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늘었다. 반면 반도체(-20.6%), 석유제품(-21.3%), 철강제품(-36.1%), 무선통신기기(-21.0%), 자동차부품(-14.1%), 가전제품(-29.9%) 등은 감소했2022.10.07 10:05
[더파워=최병수 기자]원자재 등의 수입 가격 상승으로 지난 8월 상품수지 적자가 약 45억달러에 이르면서, 이를 포함한 전체 경상수지도 4개월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무역수지에 이어 경상수지마저 적자로 돌아서면서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기초 체력)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재정수지와 경상수지가 동시에 적자인 ‘쌍둥이 적자’도 현실화됐다.한은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30억5천만달러(약 4조3천36억원) 적자로 집계됐다.경상수지란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2022.10.06 14:49
[더파워=최병수 기자]킹달러가 지속되면서 9월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전달에 이어 두달째 감소했다. 한달 동안 무려 196억 달러 이상 줄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8위 규모로 충분한 수준인 만큼, 외환 위기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한은이 6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천167억7천만달러로, 8월 말(4천364억3천만달러)보다 196억6천만달러나 줄었다.금융위기 당시 2008년 10월(274억달러) 이후 13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하지만 과거와 비교해 외환보유액 규모 자체가 커졌기 때문에 9월 감소율(-4.5%)은 역2022.10.06 14:02
[더파워=최병수 기자]올해 들어 기준금리 인상과 증시 부진 지속되면서 가계 대출이 줄고, 안전자산인 저축성 예금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경우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운전자금이 늘어나자 1년 전보다 더 많은 돈을 금융기관에서 빌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2·4분기 중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올해 2·4분기 중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결과 발생한 국내부문의 순자금 운용 규모는 8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4조원)보다 5조5000억원 감소했다.순자금 운용은 가계가 예금, 채권, 보험, 연금 준비금으로 굴린 돈(자금운용)에서 금융기관 대출금(자금조달)을 뺀 금액으로 여유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424,000 | ▼16,000 |
비트코인캐시 | 699,500 | ▼2,500 |
이더리움 | 4,160,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840 | ▼10 |
리플 | 4,070 | ▲28 |
퀀텀 | 3,165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451,000 | ▼61,000 |
이더리움 | 4,157,000 | ▲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800 | ▼50 |
메탈 | 1,091 | ▲6 |
리스크 | 608 | ▲1 |
리플 | 4,068 | ▲26 |
에이다 | 1,022 | ▼5 |
스팀 | 20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5,42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700,000 | ▼3,000 |
이더리움 | 4,161,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960 | ▲50 |
리플 | 4,078 | ▲36 |
퀀텀 | 3,170 | ▲20 |
이오타 | 30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