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13:47
[더파워 유연수 기자]동아에스티는 ‘제20회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을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동아에스티 본사 대강당에서 제20회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 입학식을 갖고 본격적인 일정을 시작했다.올해 20회를 맞은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은 단순히 쓰레기를 줍고 재활용을 하는 봉사활동 체험이 아닌 환경과 생명의 소중함을 직접 느끼고 배워 환경 속에 살아있는 생명을 내 손으로 지킨다는 생명존중의 정신을 기르는 행사로 동아에스티가 2004년부터 주최하고 있다.이번 청소년 환경사랑 생명사랑 교실은 ‘우리가 그린(GREEN) 내일, 우리의 실천’이라는 주제로 환경과 생명의 가치를 알아보고,2025.07.21 10:42
[더파워 유연수 기자]대웅제약이 대표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NABOTA)’를 중심으로 한 K-에스테틱 토탈 솔루션을 인도네시아 시장에 공식 론칭했다. 21일 대웅은 현지 파트너사 DNC 에스테틱스와 함께 지난 19일 자카르타 랑햄호텔에서 ‘시지바이오 런칭 심포지엄(CGBIO Launching Symposium – MOVE TO NEW GEN)’을 열고, 나보타를 포함한 5종의 주요 미용의약품을 현지 의료진에 소개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 ▲히알루론산(HA) 필러 ‘디클래시 HA’ ▲칼슘 필러 ‘디클래시 CaHA’ ▲실리프팅용 봉합사 ‘럭스(LUXX)’ 및 ‘두스(DOOTH)’ 등이다. 단순 제품 공급을 넘어, 실제 임상에서 적용 가능2025.07.18 13:09
[더파워 유연수 기자]한미약품은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선보인 의료인 전문 디지털 플랫폼 ‘HMP(Health & Medical Platform)’가 출범 25주년을 맞아 의료진 대상 고객 감사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이번 이벤트는 지난 25년간 HMP와 함께해온 의료진의 신뢰와 성장을 기념하는 자리로, 오는 31일까지 HMP에 가입된 전국 의사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참여를 원하는 회원은 HMP 공식 홈페이지 내 ‘25주년 히스토리’ 페이지에서 플랫폼과의 추억이 담긴 사진이나 에피소드를 업로드하면 된다.HMP는 2000년 한미약품이 국내 최초로 선보인 의료 전문 포털이다. 제품 및 질환 정보, 최신 의학 트렌드, 업계 뉴스, 지식 커뮤니티, 사회2025.07.18 09:10
[더파워 유연수 기자]동아제약은 여드름 치료제 ‘애크린 겔’의 신규 광고 영상을 18일 공개하며 본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고 밝혔다.이번 광고는 세안과 피부관리에도 반복되는 좁쌀여드름 고민을 보여주며, 단순한 관리가 아닌 근본적인 원인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애크린 겔의 주성분인 살리실산 2%가 각질을 제거하고 여드름균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광고는 “좁쌀여드름 치료에는 애크린 겔”이라는 나레이션으로 마무리된다.광고 모델로는 드라마 ‘천국보다 아름다운’에 출연한 신예 배우 최희진이 발탁돼 광고의 몰입도를 높였다. 해당 광고는 TV, 디지털, 극장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순차적으로 송출2025.07.17 11:23
[더파워 유연수 기자]대웅제약 영업직원들이 자사 의약품 판매를 위해 의료기관에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경찰이 강제수사에 나섰다.경기남부경찰청 형사기동대는 17일 오전 9시40분부터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대웅제약 본사를 비롯해 자회사 및 관련 업체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약사법 위반 혐의로 다수의 수사관을 투입해 영업 관련 서류와 전산자료 등 증거 확보에 나섰다.이번 수사는 지난해 4월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공익신고에서 비롯됐다. 대웅제약 내부 관계자로 추정되는 공익신고자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약 2년간 전국 병의원 380여 곳에 자사 의약품을 처방하도2025.07.17 09:17
[더파워 유연수 기자]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결합한 새로운 상생 모델을 선보였다.대웅제약은 17일, 헬스케어 스타트업 씨어스테크놀로지와 협력해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obiCARE)’의 재사용 리프레시 제품인 ‘모비케어 리프레시(mobiCARE REFRESH)’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기존 일회용 검사기기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 편의와 병원의 관리 부담을 줄인다는 점에서 의료기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모비케어는 19g 초경량 무선 기기로, 일상생활 속에서도 최대 9일간 연속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 이상 징후 포착에 용이하다. 기존에는 기기를 병원에서 부착하고 직접 반납해야 했지2025.07.16 10:54
[더파워 이경호 기자]노화나 환경 요인으로만 여겨지던 노인성 난청의 원인 중 하나가 유전적 돌연변이에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최병윤 교수와 고대안산병원 최준 교수 공동 연구팀은 ‘HOMER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노인성 고심도 난청을 유발하는 구체적 기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노인성 난청은 65세 이상 인구의 40% 이상이 겪는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이다. 청력 저하가 심해지면 치매, 우울증, 당뇨병, 낙상 등 다른 질환 발생 위험도 커져 고령 사회의 중대한 보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소음, 약물, 기저질환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은 밝혀졌지만, 유전적 요인에2025.07.16 10:21
[더파워 유연수 기자]동아쏘시오홀딩스는 준법경영시스템 ISO 37301 인증 유지를 위한 사후 심사를 통과했다고 16일 밝혔다.ISO 373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준법경영 정책과 리스크 관리 체계가 글로벌 수준에 부합한지 평가하기 위해 2021년 제정한 국제 인증 규격이다.동아쏘시오홀딩스는 지난해 ISO 37301 인증을 최초 취득한 이후 올해 사후심사에서도 적합 판정을 받았다. 사후 심사는 시스템 운영 유지 및 강화 점검을 거쳐 1년 단위로 실시된다.이번 심사에서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경영진 및 직원의 높은 실천 의지, 인적자본시스템 우수한 운영, 전사적 리스크 식별 및 대응 체계 등의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동아쏘시오홀딩스는2025.07.15 15:41
[더파워 유연수 기자]대웅제약이 국산 1호 지방파괴주사제 ‘브이올렛’을 앞세워 미용 성형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턱 밑, 팔뚝, 허벅지 등 특정 부위를 정교하게 관리하는 ‘마이크로 뷰티’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브이올렛의 기전적 특성과 대규모 임상 데이터가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대웅제약은 15일 서울 조선팰리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브이올렛의 특장점과 비전을 공유했다. 브이올렛은 2021년 출시 이후 한국인 960명을 대상으로 4건의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받은 제품으로, 2020년 벨카이라의 시장 철수 이후 침체됐던 지방파괴 시장을 다시 활성화시킨 제품으로 평가된다.윤준수 나보타사2025.07.15 10:10
[더파워 이경호 기자]서울특별시 서남병원이 폭염과 폭우 등 여름철 재난에 대비해 서울 서남권의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현장 중심 방문 진료를 실시하며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나섰다.서남병원은 지난 1일부터 11일까지 약 2주간 양천·강서·구로·금천·영등포구 등 서남권 지역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30여 명을 대상으로 의료진이 직접 방문해 진료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방문 진료는 서남병원 공공의료본부의 ‘서남형 건강 돌봄 네트워크’ 사업의 일환으로, 의사·간호사·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팀이 참여해 특화 진료, 긴급 투약, 지역사회 자원 연계까지 통합 돌봄 서비스를 지원했다.또한, 고령층2025.07.14 13:15
[더파워 이경호 기자]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기존 수술법보다 절개 범위를 줄인 ‘양방향 내시경 디스크 절제술(BED)’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허리디스크 수술의 새로운 표준 가능성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허리디스크’로 알려진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 내부 수핵이 터져 나와 신경을 압박하면서 요통, 좌골신경통, 다리 저림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수핵 제거 수술이 필요하다.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술법은 현미경 디스크 절제술(MD)로, 약 3~4cm 정도의 절개를 통해 근육을 벌리고 수술용 현미경으로 병변을 확인하는2025.07.14 13:14
[더파워 이경호 기자]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이 희귀 혈액질환인 ‘골수섬유화증’의 진행 과정을 단일세포 RNA 분석 기술로 정밀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질환의 복잡한 병리 과정을 해명하고, 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정연준 교수(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와 이석형 교수(병리학교실), 정승현 교수(생화학교실), 이성은 교수(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등 공동연구팀은 골수섬유화증의 초기 단계인 ‘전섬유화기 PMF’와 진행 단계인 ‘진행성 PMF’ 환자들의 골수세포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분석해, 질환의 악화 과정이 단일 세포 이상이 아닌 다양한 세포 간 상호작|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221.87 | ▲114.37 |
| 코스닥 | 914.55 | ▲14.13 |
| 코스피200 | 599.03 | ▲19.57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457,000 | ▼943,000 |
| 비트코인캐시 | 759,000 | ▼11,500 |
| 이더리움 | 5,354,000 | ▼87,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020 | ▼280 |
| 리플 | 3,409 | ▼87 |
| 퀀텀 | 2,525 | ▼4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399,000 | ▼1,112,000 |
| 이더리움 | 5,354,000 | ▼9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050 | ▼270 |
| 메탈 | 601 | ▼7 |
| 리스크 | 277 | ▼4 |
| 리플 | 3,408 | ▼89 |
| 에이다 | 816 | ▼16 |
| 스팀 | 115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9,460,000 | ▼1,070,000 |
| 비트코인캐시 | 758,500 | ▼13,000 |
| 이더리움 | 5,355,000 | ▼9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010 | ▼310 |
| 리플 | 3,405 | ▼92 |
| 퀀텀 | 2,528 | ▼38 |
| 이오타 | 189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