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23 16:56
[더파워=최병수 기자]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이 지분 매각협상 결렬과 관련해 한앤컴퍼니(한앤코)를 상대로 31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23일 홍 회장의 법률대리인인 LKB앤파트너스는 입장문을 통해 “이날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지난 1일 주식매매계약의 해제에 대한 후속절차로서 본 계약의 해제에 귀책이 있는 한앤코19호유한회사를 상대로 본건 계약에서 정한 금 310억원 상당의 배상을 구하는 위약벌 및 실질적 책임자인 한앤코 측 한상원 한앤코 대표이사 사장, 김경구 전무, 윤여을 한앤코 회장을 상대로 위 금액 일부에 대한 불법행위 손해배상 청구의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본 계약은 이례적으로2021.09.23 14:59
[더파워=조성복 기자]LG전자가 자동차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을 인수하면서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중인 전장 부문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자동차, 전기·전자, 장비 부문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최근 자동차 사이버 보안 분야의 선도기업인 이스라엘 ‘사이벨럼(Cybellum)’의 지분 63.9%를 확보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약 1억4000만달러로, LG전자가 이번 인수로 확보한 지분가치는 8946만달러(약 1060억원)이다.LG전자는 올해 말까지 일부 주식을 추가 취득할 예정이어서 최종 지분율과 투자금액은 주식매매절차가 마무리되는 올 연말에 확정된다.LG전자는 이2021.09.22 14:08
[더파워=유연수 기자]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3년 동안 10대 대기업 집단에 1492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징금을 가장 많이 부과받은 기업은 465억9100만원의 롯데가 차지했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이 공정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공정위가 상위 10대 대기업집단에 부과한 과징금은 1492억1000만원이다. 횟수로는 41차례다.과징금 규모는 2017년 479억9000만원, 2018년 48억2600만원, 2020년 901억500만원으로 지난해 들어 크게 늘었다.10대 대기업집단 중 과징금을 가장 많이 받은 곳은 롯데(465억9100만원)였다. 롯데는 2018년부터 3년 동안 8회 위반행위를 했다.롯데2021.09.17 10:26
[더파워=김시연 기자]롯데하이마트는 17일 사모펀드 아이엠엠프라이빗에쿼티(IMM PE)가 한샘을 인수하기 위해 설립할 예정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500억원을 출자한다고 공시했다. 이날 롯데하이마트는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 공시를 통해 “한샘 경영권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에 투자하는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유한책임사원으로 참여하기 위해 현금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대표자, 자본금, 발행주식총수, 취득주식수, 취득 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등은 PEF가 신규설립 예정임에 따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다. 롯데하이마트는 “본건 투자는 한샘의 경영2021.09.16 10:57
[더파워=최병수 기자]SK이노베이션이 16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배터리사업 및 석유개발(E&P) 사업 분할을 확정했다. 이날 SK이노베이션은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수펙스홀에서 임시주총을 개최해 정관 일부 개정 및 배터리사업과 석유개발(E&P) 사업 분할 안건을 모두 승인했다. SK이노베이션은 앞서 지난 8월 3일 이사회를 열고 배터리·석유개발 사업의 분할이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해 두 사업의 분할을 의결한 바 있다. 이번 임시주총에서 두 사업의 최종 분할안이 승인되면서 신설법인 ‘SK배터리주식회사(가칭)’와 ‘SK이앤피주식회사(가칭)’는 오는 10월 1일 공식 출범한다. 이날 임시주총에서는 배터리2021.09.14 14:42
[더파워=최병수 기자]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김부겸 국무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향후 3년간 3만개의 청년 일자리 창출하겠다고 약속했다. 14일 김 총리와 이 부회장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삼성 청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SSAFY)’ 서울 캠퍼스에서 간담회를 갖고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삼성은 KT에 이어 두 번째로 이날 정부와 ‘청년희망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삼성은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사회공헌활동(CSR)을 통해 향후 3년 동안 청년 일자리 3만개 창출 효과를 이루어내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은 구체적으로 청년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와2021.09.14 10:20
[더파워=김시연 기자]한앤컴퍼니(이하 ‘한앤코’)와의 지분 매각 협상이 결렬된 남양유업이 14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한앤코가 추진하려 했던 이사 신규 선임안 등 대부분의 안건을 부결·철회했다. 남양유업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강남 본사에서는 임시주주총회가 열고 정관 변경안 및 이사 신규 선임안을 부결하고 감사 선임안은 철회했다. 당초 양측간 지분 매각 협상이 마무리됐더라면 임시주총을 통해 집행임원제도 등을 도입하는 정관 변경안과 윤여을 한앤컴퍼니 회장의 신규 이사 선임안, 이길호 연세대학교 감사실장 감사이사 선임안이 모두 처리될 예정이었다. 홍원식 회장은 앞서 지난 4월 이른바 ‘불가리스 사태’로2021.09.13 14:08
[더파워=최병수 기자]1970년 이후 출생한 회장급 이상 국내 대기업 오너가(家) 경영자는 총 1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200대 그룹 및 주요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970년 이후 출생한 오너가(家) 중 임원 직함을 보유한 인원은 총 22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1970년 이후 태어나 공식 회장직을 맡고 있는 오너 경영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52세), 윤호중 HY 회장(51세),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50세),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46세), 구광모 LG그룹 회장(44세) 등 총 14명이다. 현재 부회장직을 수행 중인 오너가 임원은 조현식 한국앤컴퍼니 부회장(51세)2021.09.13 10:27
[더파워=김필주 기자]카카오에 대한 규제를 검토 중인 공정거래위원회가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에 대해 제재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IT업계 및 경쟁당국 등에 따르면 최근 공정위는 카카오의 사실상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는 케이큐브홀딩스와 카카오 본사 등을 상대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지정자료’를 검토한 결과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자료가 허위보고 됐거나 누락한 정황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직권조사에 들어갔다. 케이큐브홀딩스는 2007년 1월 8일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 등의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지난해말 기준 김 의장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2021.09.10 14:52
[더파워=박현우 기자]롯데쇼핑이 LX하우시스를 제치고 국내 1위 인테리어·가구업체인 한샘의 경영권을 인수할 전망이다. 10일 유통업계 및 투자은행(IB)업계 등에 따르면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는 한샘 지분·경영권 인수를 위해 설립 예정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참여할 전략적 투자자로 롯데쇼핑을 선정했다. IMM PE가 이같은 결정을 내림에 따라 롯데쇼핑은 향후 설립되는 PEF에 단일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게 된다. 지난 7월 한샘은 창업주인 조창걸 명예회장과 그외 특수관계인들이 보유한 지분 30.21%와 경영권을 IMM PE에 매각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IMM PE와 체결한 바 있다. 롯데쇼핑은 전날 IMM2021.09.09 20:26
[더파워=최병수 기자]LX하우시스에 이어 롯데쇼핑도 국내 1위 인테리어·가구업체 한샘 인수전(戰)에 참전한다. 9일 롯데쇼핑은 사모펀드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가 설립예정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2995억원을 출자한다고 공시했다. 롯데쇼핑이 IMM PE가 설립하는 PEF에 투자하는 금액은 자기자본 대비 2.70%에 해당하는 규모다 롯데쇼핑은 “한샘 경영권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에 투자하는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유한책임사원으로 참여한다”며 “이번 투자로 자사의 상품·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와 국내 1위 인테리어·가구업체인 한샘과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2021.09.06 16:43
[더파워=박현우 기자]LX하우시스가 한샘 인수전(戰)에 전략적 투자자 자격으로 참여한다. 6일 LX하우시스는 “‘㈜한샘’ 경영권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IMM프라이빗에쿼티가 설립·업무집행사원으로 운용 예정인 특수목적법인(SPC)에 투자하는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에 유한책임사원으로 참여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날 LX하우시스는 이사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LX하우시스가 PEF에 출자하는 금액은 3000억원으로 이는 자기자본 대비 35.83% 해당하는 규모다. LX하우시스는 “당사는 이사회 결의 이후 IMM프라이빗에쿼티에 출자확약서를 제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당사의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07.31 | ▲11.77 |
코스닥 | 852.69 | ▲5.61 |
코스피200 | 464.65 | ▲1.9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698,000 | ▼250,000 |
비트코인캐시 | 827,500 | ▼500 |
이더리움 | 6,295,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10 | ▼90 |
리플 | 4,174 | ▼10 |
퀀텀 | 3,383 | ▼1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674,000 | ▼251,000 |
이더리움 | 6,294,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430 | ▼60 |
메탈 | 1,012 | ▼5 |
리스크 | 500 | ▼1 |
리플 | 4,173 | ▼13 |
에이다 | 1,202 | ▼5 |
스팀 | 18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740,000 | ▼260,000 |
비트코인캐시 | 826,500 | ▼2,000 |
이더리움 | 6,29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370 | ▼30 |
리플 | 4,171 | ▼13 |
퀀텀 | 3,390 | 0 |
이오타 | 262 | ▲1 |